보육교사가 지각한 유아들의 정서적 탄력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적 탄력성과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385명이며, 유아의 정서적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연실(2012)이 개발한 유아기 다차원적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또래유능성에 대한 성별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모든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탄력성에 대한 성별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모든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탄력성은 또래...
Saved in:
Published in | 공공정책연구 Vol. 37; no. 1; pp. 263 - 29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0.06.2020
지방자치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439 2671-8472 |
DOI | 10.33471/ILA.37.1.11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적 탄력성과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385명이며, 유아의 정서적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연실(2012)이 개발한 유아기 다차원적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또래유능성에 대한 성별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모든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탄력성에 대한 성별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모든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탄력성은 또래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의 정서적 탄력성과 또래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ilience and peer competence in infants. The subject of study was 385 infants aged 3-5 years old. To measure emotional elasticity of infants, a multidimensional elasticity measure of infancy developed by Lee, Yon-Sil (2012)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peer performance, The peer competency scale developed by (2001)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difference in peer competence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resilience were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Third, emotional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er competence. Through thes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for improving emotional resilience and peer competence of infants were discussed. |
---|---|
Bibliography: | 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
ISSN: | 2384-0439 2671-8472 |
DOI: | 10.33471/ILA.37.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