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구성과 특징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설정하였다. 교육과정 총론의 추진 내용을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나 교과마다 서로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논리를 모든 교과에 다 적용하려는 것은 아무리 좋은 논리일지라도 오류를 범하여 교과교육을 왜곡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한다.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의 설정은 새로운 시도인 만큼 현장교사들에겐 생소한 내용이기에 이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15) Vol. 115; pp. 363 - 387
Main Authors 최미영, Choi Mi-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9.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5.201709.3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설정하였다. 교육과정 총론의 추진 내용을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나 교과마다 서로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논리를 모든 교과에 다 적용하려는 것은 아무리 좋은 논리일지라도 오류를 범하여 교과교육을 왜곡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한다.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의 설정은 새로운 시도인 만큼 현장교사들에겐 생소한 내용이기에 이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교과교육 관련 학계에서 다양한 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15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구성 방식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 이전 교육과정에서 볼 수 없었던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의 타당성과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한 교과의 교육과정문서로써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준을 제시해주고 안내서로써의 오해와 혼란이 없도록 체계적이고 타당성 있는 내용을 담아내야함에도 불구하고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논리적인 문제점을 나타냈다.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set up ‘Key Values,’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Applying National Curriculum Plans into subject education can be taken as granted, however, applying a specific logic into every subject should be carefully avoided since any good logic may cause errors and lead to distortion of subject education since each subject serves different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Setting up ‘Key Values,’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is a new trial, and thus it may have possibilities for misleading and expected to open up various debates in academia. This research observed on Contents Structur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reviewed on validity and problems of ‘Key Values,’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that could not be found in previous curriculum. The result shows that despite its role to suggest standard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convey systematic and valid contents as a guidebook,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 an Academic Curriculum Paper shows some rational problems on ‘Key Values,’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in their set-up progress.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5.201709.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