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윤리적 역량은 자기 존중 및 관리 능력, 도덕적 사고 능력, 도덕적 대인 관계 능력, 도덕적 정서 능력, 도덕적 공동체 의식, 윤리적 성찰및 실천 성향 6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윤리적 역량은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육 전반에서 촉진되어야 하는 목표로 추구되는 핵심역량을 도덕과 교육의 본질에 따라 변환한 것이다. 교육과정 총론이 제시한 핵심역량을 교과별 핵심역량으로 형식적으로 변환한 결과 윤리적 역량 개념은 의미의 불명료성, 도덕성의 복합적 구성 관 점을 기초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도덕심리학에서 강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14) Vol. 114; pp. 89 - 116
Main Authors 김국현, Kim Kuk-hy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6.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4.201706.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윤리적 역량은 자기 존중 및 관리 능력, 도덕적 사고 능력, 도덕적 대인 관계 능력, 도덕적 정서 능력, 도덕적 공동체 의식, 윤리적 성찰및 실천 성향 6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윤리적 역량은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육 전반에서 촉진되어야 하는 목표로 추구되는 핵심역량을 도덕과 교육의 본질에 따라 변환한 것이다. 교육과정 총론이 제시한 핵심역량을 교과별 핵심역량으로 형식적으로 변환한 결과 윤리적 역량 개념은 의미의 불명료성, 도덕성의 복합적 구성 관 점을 기초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도덕심리학에서 강조되는 윤리적 역량으로서의 도덕성 요소와의 부조화, 이 두 가지 문제의 결과로서 윤리적역량 구성요소들의 위계 설정의 불균형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역량개념의 불명료성과 오개념은 도덕과 교육의 본질적 목표에 타당한 실행, 그리고 윤리적 역량, 교육내용, 교수·학습의 일관성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 역량의 재범주할 필요가 있다. 도덕성 4요소 이론을 기초로 능력, 의식,성향 3영역으로 구성된 현행 교육과정상의 역량구조를 4요소 및 기능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범주와 위계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교육목표, 내용, 교수학습, 평가의 일관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In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six ethical competencies were suggested. These ethical competencies include self-respect and self-management, moral thinking, moral relationship, moral emotion, moral community sprit, ethical reflection and disposition to do moral action. Ethical competencie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derived from six key competencies in General Curriculum Guideline which were targeted to be promoted through the entire process of education. Six key competencies in General Curriculum Guideline include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skills, civic competency. These are common to all subjects and are formally changed into each subject`s competencies in respect of characteristics of subject. As a natural result, problems such as a confusion about what constitute ethical competency and ambiguities of meaning, incongruity with ethical competencies, in others words, ethical skills, capacities and dispositions of moral actor which are emphasized in recent moral psychology, and hierarchy imbalance of constructs are appeare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ate a framework of ethical competency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examples of the expression, and recategorization of constructs of ethical competency.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4.20170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