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골밀도 검사 간격

목적: 저자들은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에서 골다공증의 위험 요인과 골밀도 검사의 적절한 간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BMD 측정을 두 번 이상 실시받고, 골다공증을 진단받지 않은 40세 이상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51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을 기저치 BMD가 정상(T-score >-1), 경증 골감소(-1 ≥ T-score > -1.5), 중등도 골감소(-1.5 ≥T-score > -2), 중증 골감소(-2 ≥ T-score > -2.5)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1; no. 2; pp. 166 - 173
Main Authors 조민재, Min-jae Jo, 정경희, Kyong-hee Jung, 권성렬, Seong-ryul Kwon, 임미진, Mie-jin Lim, 박신구, Shin-goo Park, 박원, Wo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10.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2289-0769
DOI10.3904/kjm.2016.91.2.1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저자들은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에서 골다공증의 위험 요인과 골밀도 검사의 적절한 간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BMD 측정을 두 번 이상 실시받고, 골다공증을 진단받지 않은 40세 이상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51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을 기저치 BMD가 정상(T-score >-1), 경증 골감소(-1 ≥ T-score > -1.5), 중등도 골감소(-1.5 ≥T-score > -2), 중증 골감소(-2 ≥ T-score > -2.5)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10%의 환자가 골다공증 또는 골절이 발생되는 기간을 추정하였다. 결과: 총 관찰 기간은 2,214인-년이었고 평균 4.3인-년이었다. 각 군에서 10%의 환자가 골다공증 또는 골절이 발생되는기간은 정상군은 10년 이상, 경증군은 4.3년, 중등도군은 2.5년, 중증군은 1.5년이었다. 결론: 초기 BMD 측정의 T-score가 추후 골다공증이 발생의 가장 강력한 인자였다. 그러므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초기 BMD의 결과에 따른 다음 검사의 적절한 간격 조정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Osteoporosis occurs more frequently in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s than in healthy individu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ropriate bone mineral density (BMD) measurement interval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for RA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511 RA patients aged more than 40 years old who had undergone BMD testing more than once and who had normal BMD or osteopenia at the baseline BMD test and no history of any fracture of the spine or femur.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normal BMD (T-score > -1), mild (-1 ≥ T-score > -1.5), moderate (-1.5 ≥ T-score > -2), and advanced (-2 ≥ T-score > -2.5) osteopenia. The BMD testing interval was defined as the estimated time for 10% of the RA patients to make the transition to osteoporosis without osteoporotic fracture or the administration of any osteoporosis drug. Results: The observation period was 2,214 patient-years, with an average of 4.3 years. The estimated BMD testing interval was more than 10 years for normal, 4.3 years for mild, 2.5 years for moderate, and 1.5 years for advanced osteopenia in each of the RA patient groups. Conclusions: Our study indicated that in normal or osteopenic RA groups, a baseline BMD T-sco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stimating the interval in which osteoporosis is predicted to occur. In addition, we recommend that the BMD measuring interval should be greater than 10 years in normal BMD RA patients, 4 years in mild, 2 years in moderate, and 1 year in advanced osteopenic RA patients on the basis of L-spine BMD. (Korean J Med 2016;91:166-173)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6.91.2.005
ISSN:1738-9364
2289-0769
DOI:10.3904/kjm.2016.91.2.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