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영아기 부모의 부모-자녀관계 척도 문항 개발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영아기 부모를 위한 부모-자녀관계 척도 문항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아발달, 놀이치료 및 영아전담 보육경험이 있는 현장 및 학계전문가 17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로, 내용타당도 검증과 문항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1차 조사에서는 척도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영아기 부모-자녀관계 척도 개발의 방향성과 하위요인 구성, 하위요인에 적합한 문항 등의 전문가 의견 수렴과정을 거쳤다. 2차 조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및 1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영아기 부모-자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4; no. 1; pp. 83 - 10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28.0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4.1.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영아기 부모를 위한 부모-자녀관계 척도 문항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아발달, 놀이치료 및 영아전담 보육경험이 있는 현장 및 학계전문가 17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로, 내용타당도 검증과 문항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1차 조사에서는 척도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영아기 부모-자녀관계 척도 개발의 방향성과 하위요인 구성, 하위요인에 적합한 문항 등의 전문가 의견 수렴과정을 거쳤다. 2차 조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및 1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영아기 부모-자녀 관계의 개념적 정의와 하위요인 명칭, 고안된 120문항의 적합도를 알아보았다. 2차 조사결과에서 ‘영아의 기질’ 6개 하위요인, ‘부모의 자기이해’ 2개 하위요인, 그리고 ‘부모의 양육특성’ 3개 하위요인의 109문항이 고안되었다. 3차 조사에서는 하위요인 및 문항 재수정 과정에서 패널들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둘째, 1-3차 델파이조사에서 도출된 105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한 결과, 각 문항과 총점 간의 상관은 .29~.96이였고, 내적합치도는 전체가 .99, 하위요인별로는 .78~.94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3개의 하위척도, 11개 하위요인과 105문항이 적합하고 타당한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ale items fo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infancy using the Delphi method. Seventeen experts representing the fields of infant development, play therapy, and infant-care were invited to participate as the expert panel. The results yielded content validity and item goodness of test construction. It also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inal 105 item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items.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item and total score were 0.29~0.96;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0.99 for the total score, and 0.78~0.94 for each sub factors. Finally, 11 factors and 105 item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nd valid.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