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국어 ‘伤心’류 감정형용사군의 의미연결망과 차이 연구 - 말뭉치 기반의 BP접근법

본 연구는 유의어 ‘伤心’, ‘难受’, ‘难过’, ‘痛苦’ 그룹의 의미 차이를 밝히기 위해 BP접근법을 적용해 말뭉치 용례에서 ‘행동 프로필’을 조사하고 통사 기능과 다양한 의미적 차원의 특징과 차이에 대한 통합된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CA분석과 HAC분석을 통해 범주 내부의 구조를 탐색하고 연결망을 구조를 제안하였다. 통사적 BP데이터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难过’와 ‘难受’가 가장 유사하여 가장 먼저 군집화되 고이 군집이 다시 ‘伤心’과 결합되며, ‘痛苦’는 이들과 가장 거리가 멀었다. 이러한 차이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국학보 Vol. 99; pp. 3 - 33
Main Authors 이은경, Lee Eunk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중국학회 28.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유의어 ‘伤心’, ‘难受’, ‘难过’, ‘痛苦’ 그룹의 의미 차이를 밝히기 위해 BP접근법을 적용해 말뭉치 용례에서 ‘행동 프로필’을 조사하고 통사 기능과 다양한 의미적 차원의 특징과 차이에 대한 통합된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CA분석과 HAC분석을 통해 범주 내부의 구조를 탐색하고 연결망을 구조를 제안하였다. 통사적 BP데이터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难过’와 ‘难受’가 가장 유사하여 가장 먼저 군집화되 고이 군집이 다시 ‘伤心’과 결합되며, ‘痛苦’는 이들과 가장 거리가 멀었다. 이러한 차이는 구체적으로 ‘痛苦’의 명사적 사용(명사성 주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선호와 서술적 사용의 비선호, ‘难过’와 ‘难受’의 보어와 술보구조의 술어로서의 사용 선호, 그리고 ‘伤心’과 ‘痛苦’의 부사어와 관형어로의 사용 선호가 야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의미적 차원의 특징에 대한 군집화 분석은 통사적 분포 특성과 유사하게 ‘难受’와 ‘难过’를 내부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 통사와 의미의 통합 프로필에 대해 ‘难受’와 ‘难过’를 하나의 군집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결망에 대한 제안을 토대로 ‘难受’와 ‘难过’의 의미 차이, 이 군집과 ‘伤心’의 차이, 그리고 ‘伤心’과 ‘痛苦’의 주요 차이와 원형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havioral profile’ in corpus use cases by applying the BP approach to reveal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synonyms ‘shangxin’, ‘nanshou’, ‘nanguo’, and ‘tongku’ groups. Through this method, integrated data was deriv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syntactic functions and various semantic dimensions. And on these data, CA analysis and HAC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plore the structure within the category, and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was propos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he syntactic BP data, ‘nanguo’ and ‘nanshou’ were the most similar and clustered first, and this cluster was combined with ‘shangxin’ again, and ‘tongku’ was the most distant from them. These differences are specifically related to the preference for the noun use of ‘tongku’ (noun subject, object, and the object of the preposition) and the non-preference for the descriptive use, the preference for the use of the complement and predicate of ‘nanguo’ and ‘nanshou’ as predicates in the predicate structur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eference for using the adverbs and adjectives of ‘shangxin’ and ‘tongku’ was caused. Clustering analysis of all semantic dimension features suggested that ‘nanshou’ and ‘nanguo’ are internally closest similar to syntactic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the integrated profile of syntactic and semantics, both distance measures ‘nanshou’ and ‘nanguo’ were proposed as one cluster. And ‘shangxin’ was similar to these and ‘tongku’ was found to be the most different from the other three words. Finally, based on the proposal for this network,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nanshou’ and ‘nanguo’, the difference between this cluster and ‘shangxin’, and the main difference and the typical meaning between ‘shangxin’ and ‘tongku’ were explained.
Bibliography: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ISSN:1226-850X
2671-8286
DOI:10.35982/jcs.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