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윤리』내 ‘책임’ 개념의 보완을 위한 제언 - 한나 아렌트(H. Arendt)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개의 핵심 가치 중 책임의 학문적 근거를 강화하고, 『생활과 윤리』서술에서 정치적 책임에 대한 보완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바, ‘삶의 의미 물음’을 온전히 담아 내기 위해서는 정의로운 공동체를 지향하는 시민의 삶에서도 책임을 다루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를 분석해보면 공동체의 책임, 특히 과거 사안에 대한 정치적 책임 이행을 소홀하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정치적 책임 이행을 강조하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에 주목할 필요가...
Saved in:
Published in | 윤리연구, 1(134) Vol. 134; pp. 233 - 25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윤리학회
30.09.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982-5121 2982-5334 |
DOI | 10.15801/je.1.134.202109.23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개의 핵심 가치 중 책임의 학문적 근거를 강화하고, 『생활과 윤리』서술에서 정치적 책임에 대한 보완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바, ‘삶의 의미 물음’을 온전히 담아 내기 위해서는 정의로운 공동체를 지향하는 시민의 삶에서도 책임을 다루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를 분석해보면 공동체의 책임, 특히 과거 사안에 대한 정치적 책임 이행을 소홀하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정치적 책임 이행을 강조하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Ⅱ장에서 교과서를 분석하고, Ⅲ장에서는 아렌트의 책임 개념이 갖는 특징이 무엇인가를 설명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아렌트의 책임 개념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아렌트의 정치적 책임 개념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접근이 요구되는가에 대하여 제언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academic basis of responsibility among the four key-values presented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propose supplementary points for political responsibility in description of the "Life and Ethics". As the curriculum reveals, in order to fully capture the question on ‘the meaning of life’, responsibility must also be dealt with in the lives of citizens who aim for a just community. However analyzing textbooks, they tend to neglect the community's responsibility, especially the implementation of political responsibility on past issues. In dealing with responsibility Hannah Arendt's ideas need to be noted in order to include the political responsibilities required in civil life. To this end, Chapter II will analyze textbooks, and Chapter IⅢ will explai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rendt's responsibility concept. Chapter Ⅳ will discuss how Arendt's concept of responsibility can complement the content elements of the textbook. Finally, chapter Ⅴ will suggest what kind of approach is required for Arendt's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o be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
Bibliography: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ISSN: | 2982-5121 2982-5334 |
DOI: | 10.15801/je.1.134.202109.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