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메니우스에서 도덕 교육학의 예비학으로서 훈육 교육과 문명화 교육

①글쓴이는 아래 논문에서 한편으로 윤리학과 교육학의 접점에 서서 다른 한편으로 철학과 윤리학 그리고 도덕 교육학과 도덕 심리학의 문맥 안에서 코메니우스의 일차 전거들에 대한 내재적 해석과 (해체적 해설이 아닌) 건설적 해설의 방법을 따르는 연구를 수행한다. ②아래 논문은 코메니우스가 명시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의도하는 도덕 교육학의 얼개를 그리고 그의 도덕 교육학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미를 칸트 철학의 관점에 서서 발굴하고자 한다. ③글쓴이는 도덕 교육학에 관한 코메니우스의 명시적 구도와 암묵적 구도에 따라서 훈육 교육을 진정한 도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Vol. 35; pp. 69 - 110
Main Authors 조관성, Cho Kwans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0.12.2017
인문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①글쓴이는 아래 논문에서 한편으로 윤리학과 교육학의 접점에 서서 다른 한편으로 철학과 윤리학 그리고 도덕 교육학과 도덕 심리학의 문맥 안에서 코메니우스의 일차 전거들에 대한 내재적 해석과 (해체적 해설이 아닌) 건설적 해설의 방법을 따르는 연구를 수행한다. ②아래 논문은 코메니우스가 명시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의도하는 도덕 교육학의 얼개를 그리고 그의 도덕 교육학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미를 칸트 철학의 관점에 서서 발굴하고자 한다. ③글쓴이는 도덕 교육학에 관한 코메니우스의 명시적 구도와 암묵적 구도에 따라서 훈육 교육을 진정한 도덕교육을 위한 소극적 예비 단계로 파악하며, 문명화 교육을 진정한 도덕 교육을 위한 적극적 예비 단계로 이해한다. ④현재 논문은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 안에서 코메니우스가 의중에 두고 있는 훈육 교육과 문명화 교육과 진정한 도덕 교육의 관계에 착안해서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이 무엇이며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를 밝혀내고자 한다. ⑤아래 연구는,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 방법의 주요 핵심 부분을 인간의 세 가지 존재 층과 세 가지 단계의 심리적 규제 그리고 인간의 삶과 행위를 규정할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가치와 동기 그리고 더 나아가 도덕 교육적 습관형성의 세 가지 수준에게 (곧 도덕 철학과 도덕 심리학에 속하는 동기 이론과 행위이론에게) 의탁하여 개념화하고 이론화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⑥이러한 방식의 재구성을 통하여 글쓴이는 세 가지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는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 방법을 확보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carries out an immanent-interpretative study of Comenius starting from his original pedagogical works. By making use of the method of constructive exposition which contrasts with that of destructive exposition the author deals with the above mentioned theme from the standpoint that not only philosophy and ethics but also moral pedagogy and moral psychology have in common. In this paper it will be attempted to bring out first the Comenius conception of moral pedagogy or moral education in a wide sense that he describes explicitly and implicitly, and second its place an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moral philosophy and moral pedagogy. According to the Comenius explicit and implicit conception of moral pedagogy that he has in mind and takes in a wide sense, Disziplin (als Zucht)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negative moral propaedeutics for genuine moral education (Moralisierung or Moralpadagogik which is here to be understood in a narrow sense), and Zivilisierung can be characterized as a kind of positive moral propaedeutics for genuine mo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wide context in which Disziplin, Zivilisierung and Moralisierung stand, this thesis gives an illuminating account of what moral education is in a wide sense and how it can be performed and practised. Drawing on the moral philosophical and moral psychological theories of human act and motivational factors (e. g. three levels of human existence, three steps of psychological regulation, three kinds of values, three forms of motivation, and three types of moral educative habituation), this study purports to reconstruct (by relying on my own conceptualization and theorization which are based above all implicitly on Aristoteles and Husserl and explicitly on Kant) the core aspects of the method of moral pedagogy (which is here viewed in a wide sense) that can be employed in the three modes of moral educative habituation.
Bibliography: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