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 중·노년의 질병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과 우울증의 관계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과 우울증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농촌기반 코호트 사업에 참여한 40세 이상 남녀 2,754명(남자 1,025명, 여자 1,7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기초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신체활동 설문과 우울증 척도 검사(K-CESD), 질병유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초평가는 신장, 체중,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신체활동과 우울증 유병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일반사람과 질병을 가진 환자에서 신체활동은 우울증 유병...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31; no. 1; pp. 24 - 3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20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20.31.1.24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과 우울증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농촌기반 코호트 사업에 참여한 40세 이상 남녀 2,754명(남자 1,025명, 여자 1,7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기초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신체활동 설문과 우울증 척도 검사(K-CESD), 질병유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초평가는 신장, 체중,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신체활동과 우울증 유병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일반사람과 질병을 가진 환자에서 신체활동은 우울증 유병률을 각각 33%, 51% 감소시켰다. 둘째, 주 1회~2회의 신체활동은 질병을 가진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을 51% 감소시키며, 3회 이상은 일반사람 37%, 질병을 가진 환자 33%의 우울증 유병률을 감소시켰다. 셋째, 주150분 미만의 신체활동은 질병을 가진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을 43% 감소시켰으며, 주 150분 이상 300분미만의 신체활동은 일반사람 43%, 질병을 가진 환자 52%의 유병률을 감소시켰다. 주 300분 이상의 신체활동은 일반사람에서 38%의 우울증 유병률 감소 효과가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우울증 유병률을 최대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ACSM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신체활동 수준이 적합하다. 또한, 질병을 가진 환자는 일반사람보다 적은 빈도와 양의 신체활동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sease. [Methods] A survey and basic assessment were conducted for 2,754 (Male=1,025 and Female=1,729) aged 40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based cohort study. The survey included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scale and disease preservation. The basic assessment measured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prevalence. [Results] First, physical activity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by 33% and 51%, respectively,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patients with the disease. Second, physical activity once or twice per week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sease by 51%, and at least three physical activities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by 37%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33% of patients with disease. Third, physical activity less than 150 minutes per week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sease by 43%, and physical activity of more than 150 minutes and less than 300 minutes per week reduced the prevalence of 43% of the general population and 52% of patients with disease. Physical activity over 300 minutes per week had a 38% reduction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suggested by the ACSM guidelines is appropriate to reduc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 patients with the disease was found to be effective with less frequency and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an the general person. |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20.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