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힌디어 도덕극의 형성과 시대의식 - 「진리의 하리슈짠드라」의 서사와 극의 형식과 관련하여
19세기 중엽 근대 힌디어 희곡이 형성 및 분화하는 과정에 시대의식이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영국식민치하에서 힌디어 지식인은 당대의 시대상황을 타개하고 민족의 정기를 세울 수 있는 문학의 역할론에 천착한다. 새시대의 시대의식에 부합하는 유희성과 훈시성을 지닌 문학양식으로서 도덕극이 등장한다. 도덕극이 등장하는 과정에서 문학의 외재적인 측면에서 ‘정제화’의 특성을 띄고, 내재적인 측면에서 ‘수신담론’을 함유하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도덕극의 문학사적 위치를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도덕극의 등장 배경과 담론과의 상관관계...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학연구 Vol. 47; pp. 209 - 24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1.05.2021
인문학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5485 2671-8847 |
DOI | 10.35559/TJOH.47.4 |
Cover
Loading…
Summary: | 19세기 중엽 근대 힌디어 희곡이 형성 및 분화하는 과정에 시대의식이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영국식민치하에서 힌디어 지식인은 당대의 시대상황을 타개하고 민족의 정기를 세울 수 있는 문학의 역할론에 천착한다. 새시대의 시대의식에 부합하는 유희성과 훈시성을 지닌 문학양식으로서 도덕극이 등장한다. 도덕극이 등장하는 과정에서 문학의 외재적인 측면에서 ‘정제화’의 특성을 띄고, 내재적인 측면에서 ‘수신담론’을 함유하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도덕극의 문학사적 위치를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도덕극의 등장 배경과 담론과의 상관관계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19세기 중엽 대중적으로 가장 유행했던 도덕극인「진리의 하리슈짠드라(Satya Hariścandra)」의 서사구조, 극의 형식 그리고 인물론에 내재된 수신담론에 대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야기의 서사구조를 인도 고대 문학전통부터 전해오던 하리슈짠드라 서사에서 취했으며, 극의 형식에 산스끄리뜨 극분류인 디마(ḍīma)를 입혔으며, 영웅적 인물론에 수신담론을 투영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힌디어 근대 도덕극의 형성 과정에 인도 고대 문학 전통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수신담론의 문학적 목적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근대 문학의 형성 과정에 문학의 외재적 측면과 내재적 측면이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며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forming Hindi modern plays in the mid-19th century. Under British colonial rule, Hindi intellectuals are bent on the role of literature that can go through the hard times and establish the spirit of the people. Moral Dramas emerge as literary styles with playfulness and admonition that conform to the consciousness of the new era. In the process of the appearance of moral dramas, it is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refinement ’ in terms of external aspect of literature and the inclusion of ‘moralization discourse’ in terms of internal aspect.
To this e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modern hindi moral dramas and its correlation with discourse are traced by examining the literary and historical positions of the modern hindi moral dramas in the 19th century. The most popular moral drama Satya Hari ścandra in the mid-19th century will be discuss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structure of drama, and the moralization discourse inherent in character. It is revealed that the narrative of the drama has inherited the ancient indian Hariścandra narrative, and that the structure of drama was dressed in the dīma type of drama, and moralization discourse is reflected in the heroic character. It can be seen that ancient Indian literary traditions naturally melt into the formation of modern Hindi moral dramas, achieving the literary purpose of moralization discourse. Through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literature have played a role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literature. |
---|---|
Bibliography: | 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
ISSN: | 1229-5485 2671-8847 |
DOI: | 10.35559/TJOH.4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