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관리역량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관리역량과 혁신 활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관리가 중요하다(management matters)’는 공공관리 분야의 기본적 명제에도 불구하고 관리역량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혁신을 위한 관리역량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성과관리, 변화대응관리, 네트워크관리로 파악하였고 이들이 세 가지 형태의 혁신 활동, 즉 혁신의 도입 및 운영,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 제품·서비스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 사업체패널데이터’를 이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정관리연구 Vol. 6; no. 2; pp. 143 - 170
Main Authors 조희진, Heejin Cho, 이정욱, Jungwoo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30.12.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8324
2671-6259
DOI10.16973/jgs.2011.6.2.0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관리역량과 혁신 활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관리가 중요하다(management matters)’는 공공관리 분야의 기본적 명제에도 불구하고 관리역량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혁신을 위한 관리역량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성과관리, 변화대응관리, 네트워크관리로 파악하였고 이들이 세 가지 형태의 혁신 활동, 즉 혁신의 도입 및 운영,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 제품·서비스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 사업체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혁신의 도입 및 운영에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관리가,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에는 변화대응관리가, 그리고 제품 및 서비스 혁신 활동에는 변화대응관리와 네트워크관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관리영역에서 충분한 역량이 개발·확보될 때에 조직 내 혁신 활동을 보다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서로 다른 혁신활동은 서로 다른 종류의 관리역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활동별로 추진 전략을 다르게 구성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city and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Despite the widely accepted notion in public management that "management matters," few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innovation activities are affected by management capacity. Viewing management capacity as consisting of four components including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SHRM), performance management,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how each component relates to three aspects of innovation: innovation adoption-implementation, employee-initiated innovation, and product-service innovation. Regression analyses of the data from the 2005 Workplace Panel Survey reveal that innovation adoption-implement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HRM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at employee-initiated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that product-service inno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These results, altogether,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managerial capacity is a critical condition for successful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One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different aspects of innovation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components of managerial capacity, which indicates that different strategies are needed for different innovation activities.
Bibliography: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G704-SER000001525.2011.6.2.002
ISSN:1975-8324
2671-6259
DOI:10.16973/jgs.2011.6.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