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가 어떻게 태아의 도덕적 자질을 바꿀 수 있는가 ―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전통 태교가 지닌 도덕주의적 경향은 현대적 시각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본고는 이 문제를 조선시대 여성 성리학자 이사주당(李師朱堂)의 저서인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전통 태교의 종합서에는 태교를 통하여 효자를 얻는다는 도덕주의적 믿음이 깊게 깔려 있다. 본고는 이를 미신적 주장이라 일축해 버리는 대신, 그 밑바탕에 깔린 사상을 최대한 세련된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특히 이를 그 철학적 배경인 성리학적 맥락에서 시도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본고는 『태교신기』에서 태교를 통하여 변화되는 것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국학보 Vol. 89; pp. 275 - 295
Main Authors 김도일, Kim Doi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중국학회 30.08.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동아시아 전통 태교가 지닌 도덕주의적 경향은 현대적 시각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본고는 이 문제를 조선시대 여성 성리학자 이사주당(李師朱堂)의 저서인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전통 태교의 종합서에는 태교를 통하여 효자를 얻는다는 도덕주의적 믿음이 깊게 깔려 있다. 본고는 이를 미신적 주장이라 일축해 버리는 대신, 그 밑바탕에 깔린 사상을 최대한 세련된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특히 이를 그 철학적 배경인 성리학적 맥락에서 시도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본고는 『태교신기』에서 태교를 통하여 변화되는 것들 중 재(才) 혹은 재능(才能)이 중요하게 포함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재(才) 혹은 재능(才能)은 기본적으로 일에 견디는 힘과 연관된다. 이것이 바로 태아의 도덕적 능력 개발의 기초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본고는 보인다. 또한, 이렇게 해석된 재(才) 혹은 재능(才能)이 현대의 발달심리학에서 주목하는 영유아의 특정 기질(temperament)과 유사함을 설명한다. 이 비교는 전통 태교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o understand the moralist tendency of taegyo (胎敎), namely East Asian traditional prenatal education for the fetus. This paper deals with this issue by focusing on the Taegyo singi (胎敎新記) written by the female scholar from the Joseon Dynasty, Yi Sajudang (李師朱堂). One of the strong beliefs in this comprehensive book on taegyo is that the practice of taegyo helps the pregnant woman to give birth to a morally good and filial son. This paper does not simply dismiss this belief as just superstition or mysticism from the modern perspective and, instead, attempts to look into what its underlying logic and idea was exactly like within the context of neo-Confucian thought. To this end,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methods and expected results of the practice of taegyo explained in the Taegyo singi. Among other things, this paper throws special attention to the concept of cai (才) or cai neng (才能) and understand it as a kind of special ability that enables one to have endurance in doing something, which can serve as one of the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moral capabilitie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cai or cai neng thus understood is comparable to a particular natural temperament of the infant, which has been treated widely in contemporary development psychology. On top of this, this paper explains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comparison between cai in East Asian traditional prenatal education and temperaments in modern development psychology in order to find out a way of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practice of taegyo from the contemporary viewpoint.
Bibliography: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ISSN:1226-850X
2671-8286
DOI:10.35982/jcs.8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