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정책 성과 평가체계 개발 연구 - 228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최근 보행자 중심의 도시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보행정책과 사업에 많은 정부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하지만 각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는 보행정책의 성과에 대해서는 면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AHP 분석, 포트폴리오 4분면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보행정책 성과 평가체계를 개발한다. 또한,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원시자료와 2014년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제공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의 보행정책 성과지수를 산정함으로써...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68; pp. 215 - 232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8.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배경 최근 보행자 중심의 도시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보행정책과 사업에 많은 정부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하지만 각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는 보행정책의 성과에 대해서는 면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AHP 분석, 포트폴리오 4분면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보행정책 성과 평가체계를 개발한다. 또한,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원시자료와 2014년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제공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의 보행정책 성과지수를 산정함으로써 평가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해 2개 부문에 대해 7개 주지표와 18개 상세지표 포함하는 보행정책 성과 평가체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228개 지자체에 시범적용한 결과, 평가체계의 평가부문간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평가지표의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평가지표간 독립성, 평가군 구분의 적절성 등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는 공신력 있는 국가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구축한 결과지표 중심의 평가체계로서, 고비용을 수반하는 기존 평가체계에 비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객관적인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s pedestrian-oriented urban policies have recently spread across the country, considerable amount of government budgets have been put into the policies and projects for pedestrian rights and environments. However, careful evaluation has not been made on the outcomes of the policies being promoted by each local government.
Method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develops a Pedestrain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sing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HP analysis, and portfolio quadrant analysis. In addition, the data from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and the data provided by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in 2014 were used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index of the pedestrian policies of 228 basic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system.
Result Through the study, a Pedestrain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drawn that included 7 main indicators and 18 detailed indicators for 2 secto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pilot application of this to 228 local govern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evaluation sectors,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the independence between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group classification.
Conclusion This is a outcome-based evaluation system built on credible national statistics. Thu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conomical, efficient, and objective evaluation tool compared to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with high cost.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0.25.3.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