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2년제, 3년제, 4년제 대학교 학부생 494명이며, 설문은 완벽주의적 자시제시, 자기자비,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불안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
Saved in:
Published in | 인간이해 Vol. 40; no. 2; pp. 1 - 2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12.2019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0860 2671-5821 |
DOI | 10.30593/JHUC.40.2.1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2년제, 3년제, 4년제 대학교 학부생 494명이며, 설문은 완벽주의적 자시제시, 자기자비,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불안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개념 명확성이 유의하게 이중적으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더라도 자기자비, 자기개념 명확성과 관련된 개입이 제공될 경우 사회불안을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내담자를 상담할 때 보다 효과적인 상담개입에 대해 논의하였고,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4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Second, self-concept clarity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ird, self-compassion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identified as double mediation variables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phobia in college stud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
Bibliography: |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
ISSN: | 2005-0860 2671-5821 |
DOI: | 10.30593/JHUC.4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