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경력자의 성공적인 진로전환을 위한 정책사업 방향 탐색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경력자가 진로전환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경험한 애로사항을 다차원적인 관점(개인적, 사회적, 제도적 차원)에서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진로전환을 위한 정책사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전환에 성공한 선수경력자와 진로전환 준비를 하고 있는 선수경력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인적 차원에서는 진로전환을 준비하는 선수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불안감 해소와 현재 추진 중인 사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융합과학회지 Vol. 11; no. 4; pp. 66 - 80
Main Authors 최윤소, Choi Yoon-so, 김기운, Kim Ki-w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융합과학회 30.04.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경력자가 진로전환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경험한 애로사항을 다차원적인 관점(개인적, 사회적, 제도적 차원)에서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진로전환을 위한 정책사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전환에 성공한 선수경력자와 진로전환 준비를 하고 있는 선수경력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인적 차원에서는 진로전환을 준비하는 선수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불안감 해소와 현재 추진 중인 사업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차원에서는 진로 전환에 대한 지도자 및 학부모의 부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진로 준비 및 탐색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차원에서는 그동안 수행된 선수경력자 진로지원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체계가 상호 연계성 없이 단발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진로 전환을 위한 효용성 있는 지원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해당 연구의 결과는 선수 및 선수경력자를 위한 진로탐색 준비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데 밑거름이 될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 추진 중인 선수진로지원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사업의 효용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om a multidimensional (individual, soci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ormal athlet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career transition and, based on th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olicy program for successful career change. Methods For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formal athletes who succeeded in or are preparing for career trans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 First, as for the individual dimension, it is necessary to relieve anxiety of the athletes preparing for career transition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current related projects. Second, as for the social dimension,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attitudes of supervisors and parents toward career transition restricted the career preparation and exploration activities of athletes. Lastly, as for the institutional dimension, as the career support program for formal athletes carried out so far was operated separately without connection, it was found that support for career transition was not effectiv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not only as a source in preparing a framework for career exploration for (formal) athletes but also as a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outcome of the current program for athlete career transition support in Korea an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rom mid- to long-term perspective.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the Convergence Science
ISSN:2671-7395
2671-7409
DOI:10.24826/KSCS.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