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윤리교육

본 연구는 점차 대두되는 정신건강의 새로운 개념을 긍정심리학적 입장에서 주목하고자 한다. 즉 정신건강은 단순히 정신장애가 부재한 상태라기보다는 개인의 삶의 스트레스와 위기에 대한 사회적 적응력, 환경과의 조정능력, 문제 해결능력을 포함한 정신적 안녕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신건강을 전반적인 정신적 안녕상태로 정의하고 윤리교육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약점과 결함에 치중된 불균형적인 관점 대신에 인간의 강점을 포괄한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관점을 지향하며, 정신건강을 단순히 증상이 없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23) Vol. 123; pp. 275 - 306
Main Authors 김나연, Kim Na-yeon, 김동춘, Kim Dong-chun, 김종훈, Kim Jong-hun, 김수안, Kim Su-an, 최용성, Choi Yong-s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1.1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점차 대두되는 정신건강의 새로운 개념을 긍정심리학적 입장에서 주목하고자 한다. 즉 정신건강은 단순히 정신장애가 부재한 상태라기보다는 개인의 삶의 스트레스와 위기에 대한 사회적 적응력, 환경과의 조정능력, 문제 해결능력을 포함한 정신적 안녕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신건강을 전반적인 정신적 안녕상태로 정의하고 윤리교육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약점과 결함에 치중된 불균형적인 관점 대신에 인간의 강점을 포괄한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관점을 지향하며, 정신건강을 단순히 증상이 없는 상태를 넘어 개인의 강점과 능력이 최대한 발현되는 상태로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이런 관점에 근거하여 윤리교육에서 정신건강이 증진되고 부적응적 증상이 예방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긍정심리학의 건강모델, 즉 질병모델이 아닌 심리적 웰빙을 지향하는 성장모델이 긍정적 정신건강을 이루어가는 구체적인 방안 역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적 정신건강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의 적용방안을 찾되, 강점 개입을 통한 긍정심리치료, 긍정 정서의 교육,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교육, 마음챙김 명상과 인지치료를 통한 정신건강교육, 신체건강과 함께하는 정신건강교육을 구체적인 적용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new concept of the emerging mental health positively.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refers to mental well-being, including mental illness, social adaptability to life stress and crisis, ability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mental health as an overall mental well-being and to promote it in ethical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is an integrated and balanced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human strengths rather than an imbalanced view that is focused on human weaknesses and deficiencies And extended mental health to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are manifested to the maximum extent beyond the state without symptoms.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prevent maladaptive symptoms in ethics education. The positive model of positive psychology, that is, the growth model that aim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rather than the disease model, would also provide concrete measures for positive mental health. In addition, positive psychotherapy through strength intervention, positive emotional educatio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education, mindfulness through meditation and cognitive therapy Health education, and mental health education with physical health.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32.201812.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