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독서교육 관련연구 동향에 대한 교육공학적 분석 : 2011~2015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의 연구 흐름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독서교육 관련 연구전반과 매체활용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1년에서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독서교육 관련 연구 논문 381개를 선정하여 발행연도,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교수학습방법을 중심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전체적으로 4%의 성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큰 변화추이 없이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매년 추이를 논평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둘째, 연구대...
Saved in:
Published in | 독서연구 Vol. 41; pp. 9 - 4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독서학회
30.11.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607 2713-9131 |
DOI | 10.17095/JRR.2016.41.1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의 연구 흐름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독서교육 관련 연구전반과 매체활용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1년에서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독서교육 관련 연구 논문 381개를 선정하여 발행연도,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교수학습방법을 중심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전체적으로 4%의 성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큰 변화추이 없이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매년 추이를 논평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연령별 학습자에서는 청소년(34.9%)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교수자는 6.8%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을 명확히 밝히지 않거나 구체적 연령구분이 없는 기타는 40.4%를 차지하였다. 셋째, 이론적 연구(42.8%)와 실증적 연구(57.2%)로 비교적 균형 있게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40.4%)와 양적 연구(33.9%)로 진행되었다. 넷째, 연구주제는 독자(20.7%), 독서자료의 일반(20.5%)이 주를 이루었고 2011년과 2014년에는 독서자료의 일반, 2012년과 2013년에는 독자에 대한 연구, 2015년에는 독서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 다섯째, 교수법의 교육방법(23.6%)에 대한 연구가 학습법의 학습전략 적용설계(3.1%)에 비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교수학습법을 기저로 한 연구는 연구대상의 절반이 되지 않았다. 디바이스 기반 매체활용 관련 연구는 교수법(2.9%)과 학습법(1.0%) 모두 미미했다. 이 연구는 전자매체를 독서교육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 독서교육 관련연구의 전반과 교육공학적 측면에서 본 매체활용 동향을 함께 분석한 연구로, 향후 스마트 시대에 적합한 양질의 독서교육 연구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find the research in general and educational media application trends of the recent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seek the alternative ways for the smart-based reading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We selected 381 academic papers from the Korean Registered Journals with the key words of `reading education` and `research` and implemented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selected papers by the published year, research objectives, target audiences, research methods, subjec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research publication, there had been about 4% increments from 2011 to 2014. However, there are totally no big change that It?s difficult to comment about annual changes. from 2015, it has been abruptly decreased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university admission policy. Second, most of the research was targeted at the learners (50%) and only 10% researches focused on the teachers. This outcome shows that there are not enough atten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for the reading education. Third, on the research objectives, practice oriented papers (57.2%) were a little bit more than the theory oriented (42.8%). On the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40.4%)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33.5%) were the major ones. Fourth, on the research subjects, generally it was led by reading materials (20.7%). However, in two years, there were noticeable number of researches on readers (2012) and reading evaluation (2015). |
---|---|
Bibliography: | G704-001476.2016..41.003 http://dx.doi.org/10.17095/JRR.2016.41.1 |
ISSN: | 1598-9607 2713-9131 |
DOI: | 10.17095/JRR.2016.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