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집단별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관한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본 연구는 소득집단별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관한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두 집단의 가지경로의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자료를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R 3-6-2와 jamovi를 사용하여 T-test와 의사결정나무 분석(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득집단별 스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청소년복지연구 Vol. 23; no. 3; pp. 79 - 107
Main Authors 서유경, Seo¸ Yu Kyung, 김현옥, Kim¸ Hyun 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0.09.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705
2466-2348
DOI10.19034/KAYW.2021.23.3.0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소득집단별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관한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두 집단의 가지경로의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자료를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R 3-6-2와 jamovi를 사용하여 T-test와 의사결정나무 분석(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득집단별 스마트폰 의존 예측요인은 청소년 변인에서 주의력결핍, 공격성, 사회적위축, 우울, 학업열의, 학업무기력이 유의미하였고, 부모 변인으로는 삶의 만족도, 행복감이 유의미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에 관한 의사결정나무 모형 분석 결과, 고소득 집단은 공격성과 주의력결핍 및 우울이 결합하여 높은 스마트폰 의존을 보였다. 저소득 집단은 우울과 주의력결핍, 공격성 외에 학업무기력이 결합될 때 높은 스마트폰 의존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ar income adolescents in regard to smartphone dependence by conducting a decision tree model analysi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as analyzed using Jamovi and R.64 3-6-2/R-studio.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th predictors, attention deficit,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were analyzed between group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predictors, life satisfactin, happiness were analyzed. Second,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tree model on the high-income is related to aggression,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And,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tree model on the low-income is related to academic helplessness, depression, attention deficit and agg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http://dx.doi.org/10.19034/KAYW.2021.23.3.04
ISSN:1229-4705
2466-2348
DOI:10.19034/KAYW.2021.23.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