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의 『파시』에 나타난 타자 의식 연구 -‘고통’과 ‘책임’의 윤리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박경리의 장편소설 『파시』에 나타난 타자 의식에 대해 레비나스의 이론을 원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주체는 타자의 존재로 인해 그 주체성이 성립될 수 있음을 말하며, 타자의 고통을 환대하고 대속(代贖)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윤리적 태도의 요청은 『파시』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파시』는 크게 두 서사를 중심축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각각 ‘신체’와 ‘의식’이 문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먼저 ‘수옥/학수’로서, 수옥은 전쟁으로 인한 피난민 여성으로 신체를 유린당한다. 이러한 타자의 ‘고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Vol. 40; pp. 303 - 350
Main Authors 이혜경, Lee Hye-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0.09.2019
인문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40.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박경리의 장편소설 『파시』에 나타난 타자 의식에 대해 레비나스의 이론을 원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주체는 타자의 존재로 인해 그 주체성이 성립될 수 있음을 말하며, 타자의 고통을 환대하고 대속(代贖)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윤리적 태도의 요청은 『파시』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파시』는 크게 두 서사를 중심축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각각 ‘신체’와 ‘의식’이 문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먼저 ‘수옥/학수’로서, 수옥은 전쟁으로 인한 피난민 여성으로 신체를 유린당한다. 이러한 타자의 ‘고통’을 희생적 태도로 ‘책임’을 지고자 하는 주체가 학수이다. 다음으로 ‘명화/응주’로서, 명화는 광기라는 혈통에 고뇌하는 지식인 여성으로 의식이 절하된다. 이러한 타자의 ‘고통’을 완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식적 혼돈으로 인해 ‘책임’에서 멀어져 있는 주체가 응주이다. 결론적으로 수옥은 새로운 생명을 잉태함으로써 단절이 아닌 ‘지속(持續)’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명화는 현실을 벗어남으로써 새롭게 삶을 ‘재생(再生)’하게 된다. 이로써 타자들의 불행한 삶은 실존의 의미를 추구해 가는 과정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파시』라는 ‘제목’과 ‘서사’와의 상관성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는데, 이를 통해 작가 의식 또한 추론해 볼 수 있다. ‘파시(波市)’는 이해득실에 따라 거래가 성립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개개인의 타산적 욕망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예컨대 서울댁과 서영래는 수옥의 ‘신체’를 거래의 대상으로 삼았고, 박 의사는 명화의 ‘혈통(광기)’을 거부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각각 비윤리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작가 박경리는 타자가 지닌 고유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작품의 형상화를 통해, 인간이 지녀야 할 진정한 윤리적 지향점과 그 실천적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take a look at the theory of Emmanuel Levinas regar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other party (l'Autre) displayed on 『Pasi』, a long novel of Park, Kyung-ri. According to Levinas, the main subject may establish the identity due to the existence of the other party and it emphasizes that the pain of the other party is to be hospitable and take up the redeemable responsibility. The request on such ethical attitude is demonstrated well no 『Pasi』. 『Pasi』 has two narratives to be deployed on the pivotal aspect and it presents each of 'body' and 'consciousness' for the issues. First of all, there were 'Soo-ok and Hak-soo', and with respect to Soo-ok, she was violated of her body as a refugee woman of war. With the sacrificial attitude of 'pain' inflicted on other parties, the subject to take on the 'responsibility' is Hak-soo. Next issue would be 'Myeong-hwa and Ong-joo' that Myeong-hwa was an intelligent woman who was antagonized of her lineage in madness with the decline of consciousness. Ong-joo was the subject to be far distance away from the 'responsibility' due to the conscious chaos herself with unable to completely accommodating the 'pain' of the other party. Conclusively, Soo-ok conceived a new life to display the possibility of 'sustenance', not the disconnection, while Myeong-hwa broke away from the reality for 'regeneration' a new life. Henceforth, the unfortunate lives of the other parties are affirmed that it is a process to pursue the existential implication. If so, it is imperative to take a look at the relativity between the title of 『Pasi』 and 'Narrative', and through this endeavor,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can also be presumed. 'Pasi' means to establish a transaction depending on pros and cons that it has the self-egoistic desire of each individual to work with significant implication. For example, Seoul Lady and Seo, Young-lae had taken the 'body' of Soo-ok as the subject of trading while doctor Park had taken the 'lineage (madness)' of Myeong-hwa as the subject of refusal in a way of displaying the unethical attitude of respective party. Therefore, the author, Park, Kyung-ri, suggests the genuine and ethical focal point and practical attitude for a human to keep through the imagery of work that seriously damages the dignity as a unique human being for the other party to keep.
Bibliography: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