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된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 구성원 간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검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 근로자 4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해 직장-가정갈등(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이 조직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장-가정 갈등(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은 조직 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조직 갈등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일 갈등과 조직 갈등 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
Saved in:
Published in | 국가정책연구 Vol. 30; no. 3; pp. 91 - 12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30.09.2016
국가정책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848 2713-6280 |
DOI | 10.17327/ippa.2016.30.3.004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 근로자 4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해 직장-가정갈등(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이 조직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장-가정 갈등(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은 조직 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조직 갈등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일 갈등과 조직 갈등 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 첫째, 유연근무제도 정착을 위한 기반요소들의 정비, 둘째, 조직문화의 혁신 및 관리자들의 인식변화와 적극적 지원, 셋째, 제도 수혜자에게 부과되는 불이익의 문제 개선, 넷째, 맞벌이 모델에 특화된 직장-가정 균형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over the organization conflict by utilizing results of the survey on 410 workers in South Korea. Analysis showed that first, work-family conflict(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 conflict. Second, job satisfaction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 conflict.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addressed through this study. First, organizing the foundations for a flexible work policy, second, innovating the organization culture and changing the perceptions of managers with full support, third, reforming disadvantages of the beneficiaries of the policy, fourt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work-family balance program specialized to a dual income family. |
---|---|
Bibliography: | Institute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G704-SER000014685.2016.30.3.003 |
ISSN: | 1738-8848 2713-6280 |
DOI: | 10.17327/ippa.2016.30.3.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