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희랍적 유사 개념에 관하여 - 필리아(philia)의 확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 글은 현대의 공공 개념의 유사 의미를 고대 희랍적 논의에서 찾아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시도이다. 현재 공공 개념에 대한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의 논의가 이어지고는 있다. 하지만, 아직은 그 개념의 체계화 과정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이러한 정황에서 이 글은 공공 개념의 희랍적 어원이 될 수 있는 잠재적 후보 개념을 탐구하면서, 공공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열어보고자 한다. 필자는 ‘함께함’ 혹은 ‘공동체’를 의미하는 ‘코이노니아’와 그에 관련된 덕인 ‘필리아’에 현대적 공공 개념과 연결될 수 있는 함축된 의미가 내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30) Vol. 130; pp. 77 - 94
Main Authors 김도형, Kim¸ Doh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9.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30.202009.7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현대의 공공 개념의 유사 의미를 고대 희랍적 논의에서 찾아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시도이다. 현재 공공 개념에 대한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의 논의가 이어지고는 있다. 하지만, 아직은 그 개념의 체계화 과정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이러한 정황에서 이 글은 공공 개념의 희랍적 어원이 될 수 있는 잠재적 후보 개념을 탐구하면서, 공공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열어보고자 한다. 필자는 ‘함께함’ 혹은 ‘공동체’를 의미하는 ‘코이노니아’와 그에 관련된 덕인 ‘필리아’에 현대적 공공 개념과 연결될 수 있는 함축된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그래서 이 두 단어를 통해서 소위 공공의 그리스적 의미를 유추해볼 수 있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이 글의 궁극적 목적은 이 두 단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고대 희랍인들이 우리의 ‘공공’과 공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며, 만약 그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고대 희랍적 ‘공공’ 아이디어를 체계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makes an attempt to find some analogous meaning with the contemporary sense of ‘the public’ within the context of ancient Greek philosopnhy. Although regarding the concept of ‘the public’ there are many discourses in various academic field in Korea, we are still in the middle of ‘systemization of the relevant theor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tries to open a possibility about some similar sense of ‘the public’ from Greek words rather than an exact answer of what the Greek origin of the public is. Therefore we suggest ‘koinonia’ and ‘philia’ as words though which we can infer a Greek sense of ‘the public’. The ultimat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ether the Ancient Greek people have had some idea which can be shareable with the exact sense of ‘the public’ and if so, to provide a useful preparation for a systematic explanation on what that shareable Greek idea is.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30.20200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