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분석과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활용한 무단횡단 금지시설 설치 효과 분석

무단횡단 금지시설은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대부분 설치 효과에 관한 정량적인 분석 결과에 근거하지 않고, 무단횡단 교통사고 발생이나 민원을 토대로 예산제약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기법인 군집분석과 사전·사후 분석 중 하나인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활용하여 무단횡단 금지시설의 설치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무단횡단 금지시설 설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단횡단 금지시설이 설치된 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통안전연구 Vol. 40; pp. 123 - 133
Main Authors 박용우, Park Yong Woo, 박신형, Park Shin H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도로교통공단 30.09.2021
도로교통공단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무단횡단 금지시설은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대부분 설치 효과에 관한 정량적인 분석 결과에 근거하지 않고, 무단횡단 교통사고 발생이나 민원을 토대로 예산제약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기법인 군집분석과 사전·사후 분석 중 하나인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활용하여 무단횡단 금지시설의 설치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무단횡단 금지시설 설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단횡단 금지시설이 설치된 구간의 도로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반영한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도로 구간들을 총 7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경험적 베이즈 방법을 통해 군집별 무단횡단 금지시설의 사고감소율을 산출하여 설치 효과를 정량화하였다. A jaywalking prevention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art of a road to prevent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However, most of the installations are determined based on accident occurrences or civil complaints under the budget constraint instead of a quantitative analysis on its effect.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effect of installing a jaywalking prevention facility, utilizing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empirical Bayes method. The road sections are classified into seven clusters by carrying out a two-stage clustering based on the variables that expla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s where the jaywalking prevention facilities were installed. The effect of the installations is quantified by calculating the accident reduction rate of the facilities of each cluster through the empirical Bayes method.
Bibliography:KoROAD
https://www.koroad.or.kr/main/research/res_safe_list.do
ISSN:1225-8741
2671-6291
DOI:10.22940/TSR.2021.4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