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Social cohesion) 변수 기반 고령사회 노인인구의 심리적 건강과 복지정책 분석

한국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인구의 삶의 질과 심리적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사회통합을 주목하고, 사회통합과 노인의 심리적 건강 간 관계를 1) 불평등, 2) 사회적 자본, 3) 제도·거버넌스 층위에서 실증 분석한다. 또한 사회통합 관점에서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고령화 사회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개인단위 시계열 횡단분석 및 지역단위 패널분석 결과, 사회통합의 세 가지 차원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 29; no. 1; pp. 107 - 137
Main Authors 권다은, Kwan Da Eun, 백진영, Pack Jinyoung, 최창용, Choi Changy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거버넌스학회 30.04.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한국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인구의 삶의 질과 심리적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사회통합을 주목하고, 사회통합과 노인의 심리적 건강 간 관계를 1) 불평등, 2) 사회적 자본, 3) 제도·거버넌스 층위에서 실증 분석한다. 또한 사회통합 관점에서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고령화 사회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개인단위 시계열 횡단분석 및 지역단위 패널분석 결과, 사회통합의 세 가지 차원과 노인의 심리적 건강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독거노인 및 사회활동으로부터 소외된 노인인구의 사회참여 촉진 및 사회적 배제 해소가 시급하다. 둘째, 고령 인구의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통해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정보화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 셋째, 노령층의 정책참여 기회 확대와 정부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Korea is one of the most rapidly aging societies among OCED member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life qu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has been emphasized both in academic and public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he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hesion a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way in three dimensions: 1) inequality, 2) social capital, 3) governance.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suggests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hree dimensions of social cohesion.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from the social cohesion perspectiv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re proposed. First, it is imperative to encompass the marginalized elderly population. Second, to address digital inequality issu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should be enhanced through digital literacy education. Lastly,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olicy process should be ensured for the elderly.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ISSN:1738-1274
DOI:10.17089/kgr.2022.29.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