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카리오필렌의 Helicobacter pylori 감염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배정, 양측 눈가림, 위약 대조군 연구

목적: H. pylori infection은 한국에서 흔한 병으로 여러 위장관 증상을 일으키며, 최근 제균 성공률이 낮아지고 있다. 베타카리오필렌은 천연 화합물로 항염증 효과와 항균 효과가 있다고 최근에 보고되고 있다. 우리는 베타카리오필렌의 H. pylori감염 억제 효능을 평가하고, 위장관 질환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3월부터 2019년 6월까지 H. pylori 양성을 진단받은 총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양측 눈가림, 위약 대조군 연구로 연구되었으며, 총 8주간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74; no. 4; pp. 199 - 204
Main Authors 심현익, Hyun Ik Shim, 송동진, Dong Jin Song, 신철민, Cheol Min Shin, 윤혁, Hyuk Yoon, 박영수, Young Soo Park, 김나영, Nayoung Kim, 이동호, Dong H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1.10.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19.74.4.19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H. pylori infection은 한국에서 흔한 병으로 여러 위장관 증상을 일으키며, 최근 제균 성공률이 낮아지고 있다. 베타카리오필렌은 천연 화합물로 항염증 효과와 항균 효과가 있다고 최근에 보고되고 있다. 우리는 베타카리오필렌의 H. pylori감염 억제 효능을 평가하고, 위장관 질환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3월부터 2019년 6월까지 H. pylori 양성을 진단받은 총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양측 눈가림, 위약 대조군 연구로 연구되었으며, 총 8주간 시험약 또는 위약 투여 전후로 위 내시경(n=14) 혹은 요소호기 검사(UBT)를 통하여 조직 검사상 H. pylori의 침윤 및 updated Sydney score에 따른 점막의 염증 수치의 변화 그리고 제균성공 여부를 확인하였다. 약 투여 전후로 혈청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결과: 양 군 모두 제균 성공된 대상자는 없었으며 UBT, updated Sydney score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베타카리오필렌군에서만 오심(nausea), 속쓰림(epigastric pain)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으며(p=0.025 and p=0.018, respectively), 혈청 IL-1β의 수치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38). 결론: 베타카리오필렌 단독 투여는 오심, 속쓰림의 증상 호전을 보였으며, 향후 위장관 질환의 보조 치료제로서 고려될 수 있다. Background/Aims: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s, which cause a variety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re common in South Korea. Recent reports have shown a decline in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s. β-caryophyllene is a natural bicyclic sesquiterpene that occurs i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such as cloves, basil, and cinnamon. β-caryophyllen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eff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β-caryophyllene on H. pylori and its potential role as an alternative gastrointestinal drug. Methods: This 8-week,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categorized subjects into a β-caryophyllene group (33 patients who received 126 mg/day of β-caryophyllene) and a placebo group (33 patients who received a placebo preparation). The inflammation level of H. pylori infiltration and the eradication rates were evaluated endoscopically and with the urea breath test (UBT) i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administering the medication. The serum cytokine levels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 [IL]-1β and IL-6)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administering the medication. Results: Complete eradication was not observed in either group.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UBT and updated Sydney score. On the other hand, the β-caryophyllen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nausea (p=0.025) and epigastric pain (p=0.018),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serum IL-1β levels (p=0.038). Conclusions: β-caryophyllene improves dyspepsia symptoms and can be considered a useful supplementary treatment for gastrointestinal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19;74:199-204)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19.74.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