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정신건강이 좋으며, 삶에 대해 만족스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고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간이해 Vol. 39; no. 2; pp. 149 - 166
Main Authors 손보영, Boyoung Son, 윤수란, Sooran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12.2018
학생생활상담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정신건강이 좋으며, 삶에 대해 만족스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고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는데, 먼저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정신건강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을 차례로 거쳐 삶의 만족에 이르는 다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춰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대학생 상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42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oci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s on ego-resiliency and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econd, ego-resiliency and mental health affected life satisfaction directly. Third, ego-resiliency affected mental health directly. Fourth, two mediated effects and one multiple-mediated effect were significant in this structur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f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can be useful for educators, counselors, and clinicians trying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bstractList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정신건강이 좋으며, 삶에 대해 만족스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정신건강이 좋고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은 사회적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는데, 먼저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정신건강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을 차례로 거쳐 삶의 만족에 이르는 다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춰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대학생 상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42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oci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s on ego-resiliency and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econd, ego-resiliency and mental health affected life satisfaction directly. Third, ego-resiliency affected mental health directly. Fourth, two mediated effects and one multiple-mediated effect were significant in this structur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f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can be useful for educators, counselors, and clinicians trying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KCI Citation Count: 2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정신건강이 좋으며, 삶에 대해 만족스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고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는데, 먼저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정신건강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을 차례로 거쳐 삶의 만족에 이르는 다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춰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대학생 상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42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oci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s on ego-resiliency and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econd, ego-resiliency and mental health affected life satisfaction directly. Third, ego-resiliency affected mental health directly. Fourth, two mediated effects and one multiple-mediated effect were significant in this structur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f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can be useful for educators, counselors, and clinicians trying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uthor 손보영
Sooran Yoon
Boyoung Son
윤수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손보영
– sequence: 2
  fullname: Boyoung Son
– sequence: 3
  fullname: 윤수란
– sequence: 4
  fullname: Sooran Y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050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ztLw1AYhg9SQa3d3FyyOiSeS89JjlspXikIUucQ20RCtJVmcuttsh0qWK1SpYWWOgi2KKLgL0q-_AejFT54Pngv8K6gRKlcshFaI1hjmEu2ebB3nNWY1KhmLKBlKnSicoOSRPxjzFVsCLyEUr7vnmDCKGWciWXUgPpL9NCGQU2BSTW-YFpVwnY16t5D4xEeewrUP34RTtownMFdRwlfP-GrF17dKNCrRbfjLQWeOtBtRo1mOBhDcxa8fSsw6EJrEMzeg2l3Hh8F03708ByL4TjWR9fQeoH-dzjsr6JFxzrz7dQ_kyi_s53P7qm5w939bCanejzN1DSzqW4RKXjawIZRxFSmpRSkQKigzNKZE68t2ifEIYUi58wgRGBH6LrOdQdjyZJoY15bqjimV3DNsuX-8bRsehUzc5TfN5mU2MAs9q7PvZ7r--ZFxT23KpcmE5xiXbIf9x-VO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30593/JHUC.39.2.8
DatabaseName KISS = 한국의핵심지식정보자원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y and Mental Health
EISSN 2671-5821
EndPage 16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990803
3652079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43-43e27a196548088d02949961c12623a73f582deb1f1cd55381160f677757f0093
ISSN 2005-0860
IngestDate Tue Nov 21 21:45:01 EST 2023
Tue Apr 01 02:15:59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3-43e27a196548088d02949961c12623a73f582deb1f1cd55381160f677757f0093
Notes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PageCount 1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990803
kiss_primary_365207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8-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8
  text: 2018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인간이해
PublicationTitleAlternate 인간이해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학생생활상담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name: 학생생활상담연구소
SSID ssib013223536
ssib044739777
ssib014209971
Score 1.6754024
Snippet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49
SubjectTerms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mental health
resilience
social support
대학생 삶의 만족
사회적 지지
심리과학
자아탄력성
정신건강
Title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5207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0508
Volume 3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인간이해, 2018, 39(2), , pp.149-16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T14kWUKtYvgjinsnUnM5PMeEvSLVXQUwu9LfsVkYVWanvxIP062R4quFpLK1toqYeCLYoo9N942539D743-WhaKlRhyb689_LmfSSZ94bMjGU9qPIKvORYtSDdKitwUaEF5cGpQ1kVyzEX_vBri2fu-CR_MiWm-vp_575amp-rjtRenzuv5H-iCjiIK86S_YfIZkIBATDEF44QYTheKMakFBLpED8kpVGifCJDxPhFSA-HDeThhwwngE8CoBWBFiAvouA6QZQykhhRowjAUcnhRHjg5lGBERU3Q0lADc0jKpbpj5FAIipQwG5a8YniRhScS2rac4kvcCDCYEtwrQEEkRzJoAUCAZoBfKgENw2B8owE4XBioopphg9poA1PLIxJp1T2M1rqK19mIg2PyGRzomgq21gK1yRMFOB8Op-0E8jUtzzF8MS1AMBNzBQk8k5u1MXId43tgVGCZz7KsyijDvLKxKHgsHhPqnSohsp0Qcjk4To_pgkwingVJhgMSIB2Js17aANaIhLLQUUZnvQVZkFZqE5jBRoxzvVoAedB5_onGq8Pm6Q6NN7w5mwvynCbR9whfHwyHMHZXCPyJFtIv5A4k0ScWq68WXtRfj5Tbs6WoSh7XIYcGOoS1m9dcqCWw87o6ZtS-tLH0RAmWJYTU24mc2edDuce1ii47EFmZDyBxaj5MKckZFVQdL2CLHF6NspliRNXrStJeWf78bN6zeprzgxay3rpoLe5ptuLtt5fgF_ncMHuri30Wp_08rbe3rD10g_86-6v6Z0j_XHd7n79qX9tdN--t_XGYu_D3iNbf17XrZXe8kq3vadXjjrfjm3dbunVdufoe-ewFV--2znc6m1-AWJ3D-i77_Tqgd467u5sXbcmxkoT4Xgh2fyk0BQc3pqs4XgVXO6TS0gE6kUHV5FyaY06ULBUPBZBZOuQaEW0VheQtVDqFiMXHCW8CIcpb1gD0zPTjZuWzWjERMRkJOsVLoWSdQFZejVyavWabDA5ZA2i28ov4-VtyswVTtFTQ9Z9cKOJ5d9jeusiTLetyydPwx1rYG52vnEXUvm56j1zK_wBs63Ms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2%AC%ED%9A%8C%EC%A0%81+%EC%A7%80%EC%A7%80%EA%B0%80+%EB%8C%80%ED%95%99%EC%83%9D%EC%9D%98+%EC%82%B6%EC%9D%98+%EB%A7%8C%EC%A1%B1%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3A+%EC%9E%90%EC%95%84%ED%83%84%EB%A0%A5%EC%84%B1%EA%B3%BC+%EC%A0%95%EC%8B%A0%EA%B1%B4%EA%B0%95%EC%9D%98+%EB%A7%A4%EA%B0%9C%ED%9A%A8%EA%B3%BC%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C%9D%B8%EA%B0%84%EC%9D%B4%ED%95%B4%2C+39%282%29&rft.au=%EC%86%90%EB%B3%B4%EC%98%81&rft.au=%EC%9C%A4%EC%88%98%EB%9E%80&rft.date=2018-12-31&rft.pub=%ED%95%99%EC%83%9D%EC%83%9D%ED%99%9C%EC%83%81%EB%8B%B4%EC%97%B0%EA%B5%AC%EC%86%8C&rft.issn=2005-0860&rft.eissn=2671-5821&rft.spage=149&rft.epage=166&rft_id=info:doi/10.30593%2FJHUC.39.2.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39908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05-086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05-086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05-086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