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정신건강이 좋으며, 삶에 대해 만족스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고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Saved in:
Published in | 인간이해 Vol. 39; no. 2; pp. 149 - 16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12.2018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들 변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정신건강이 좋으며, 삶에 대해 만족스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고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정신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는데, 먼저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정신건강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을 차례로 거쳐 삶의 만족에 이르는 다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춰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대학생 상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42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oci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s on ego-resiliency and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econd, ego-resiliency and mental health affected life satisfaction directly. Third, ego-resiliency affected mental health directly. Fourth, two mediated effects and one multiple-mediated effect were significant in this structur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f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can be useful for educators, counselors, and clinicians trying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
Bibliography: |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
ISSN: | 2005-0860 2671-5821 |
DOI: | 10.30593/JHUC.3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