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궁 활쏘기 동작 시 근활성 분석

〔목적〕 양궁종목에서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학적 연구는 증가했지만, 우리나라 전통 활쏘기인 국궁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궁 궁사를 대상으로 활쏘기 동작중의 근전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국궁 궁사 10명으로 활쏘기 자세에 따라 마주 서기 그룹(PSG, n=5)과 사선 서기 그룹(OSG, n=5)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근전도는 준비(Set), 거궁(Set up), 만작(Full draw), 발시(Release), 마치기(Ending) 등 5개 동작의 활쏘기 국면에서 12개의 근육에서 근전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2; no. 1; pp. 1 - 12
Main Authors 김창선, Changsun Kim, Zhou Yuezhu, 박동호, Dong-ho Park, 김기훈, Kihoon Kim, 정왕수, Wangsoo Jeong, 김혜리, Hye-ree Kim, 이기광, Kikwang Lee, 민석기, Seok-ki 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21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양궁종목에서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학적 연구는 증가했지만, 우리나라 전통 활쏘기인 국궁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궁 궁사를 대상으로 활쏘기 동작중의 근전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국궁 궁사 10명으로 활쏘기 자세에 따라 마주 서기 그룹(PSG, n=5)과 사선 서기 그룹(OSG, n=5)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근전도는 준비(Set), 거궁(Set up), 만작(Full draw), 발시(Release), 마치기(Ending) 등 5개 동작의 활쏘기 국면에서 12개의 근육에서 근전도를 측정했다. 〔결과〕 만작 및 발시 시의 뒤어 깨세모근, 등세모근, 큰마름근, 깍지팔의 넓은등근, 위팔두갈래근, 아래팔폄근무리, 위팔세갈래근, 어깨올림근의 근활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마치기 국면에서는 다시 감소했다(p<.01, p<.001). 또한, 척주세움근의 근활성은 만작 및 발시 시 증가(p<.01, p<.001)한 반면, 배곧은근, 넓다리곧은근, 큰볼기근에 있어서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마주 서기 집단과 사선 서기 집단을 비교한 결과, 사선 서기 집단의 넓다리곧은근 근활성은 마주 서기 집단의 발시(p<.05) 국면 보다 높았고, 마치기 국면까지 유지되었다(p<.05). 한편, 활의 장력이 높아질수록 발시 시에 깍지 팔의 위팔두갈래근 근활성이 높아졌다(p<.05). 〔결론〕 국궁 활쏘기 시 복부, 다리, 엉덩이 근육보다 양팔과 등 근육이 더 활성화된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마주 서기 자세시에 상체를 비틀기 위해 하지의 근활성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으며, 활의 장력이 높을수록 깍지 팔의 위팔두갈래근 근력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ast few decades has seen increasing kinematic studies using surface electoromyography (EMG) in archery, however there has been no such specific study in Korean traditional arch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MGs during archery shooting mot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ers. Ten men Korean traditional archers were participa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ooting stance; parallel stance group(PSG, n=5) and oblique stance group(OSG, n=5). The surface EMGs were measured 12 muscles during shooting motion of five events including Junbi(Set), Geogung(Set up), Manjak(Full draw), Balsi(Release), Machigi(Ending). At the result, muscle activity of posterior deltoid, trapezius, rhomboid major, latissimus dorsi, biceps brachii, forearm extensor bundle, triceps brachii, levator scapulae significantly increased at event of full draw and release, then significantly decreased again at event of ending, respectively(p<.01, p<.001). The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E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t event of full draw and release(p<.01, p<.001), while no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s of rectus abdominis, rectus femoris(RF), gluteus maximus. As a result of comparing PSG and OSG, muscle activity of RF in OSG was higher than PSG at event of release(p<.05), it remained until event of ending(p<.05).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tension of the bow, the higher the muscle activity of the draw arm at event of release(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Korean traditional archery shooting, both side arm and back muscles are more activated than the abdomen, leg and hip muscles. The parallel stance might suppress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to twist the upper body. And the higher bowstring tension needs to increase of muscle strength in BB of draw arm.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1.3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