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분야 치유농업에 대한 질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6개 사회복지시설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현황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회복지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치유농업의 도입은 ‘기관 사정에 따른 각기 다른 출발’로 나타났다. 둘째, 치유농업의 현황은 ‘형태별 치유농업의 실행’, ‘치유농업의 공통된 수행 방식’, ‘치유농업의 성과’로 제시하였다. 셋째, 치유농업의 문제점은 ‘치유농업 수행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체계 미흡’과 ‘물적자원 확보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농업의 개선방안은 ‘인적자원관리에 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 Vol. 37; no. 2; pp. 273 - 301
Main Authors 이상우, Lee¸ Sang-woo, 조자영, Cho¸ Ja-young, 김가원, Kim¸ Ka-won, 유은하, Yoo¸ Eun-ha, 장영신, Jang¸ Young-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1.12.2020
지방자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37.2.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6개 사회복지시설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현황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회복지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치유농업의 도입은 ‘기관 사정에 따른 각기 다른 출발’로 나타났다. 둘째, 치유농업의 현황은 ‘형태별 치유농업의 실행’, ‘치유농업의 공통된 수행 방식’, ‘치유농업의 성과’로 제시하였다. 셋째, 치유농업의 문제점은 ‘치유농업 수행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체계 미흡’과 ‘물적자원 확보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농업의 개선방안은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조직적⋅정책적 지원’과 ‘치유농업의 효과성을 높이는 물적 지원의 지속적 지원’으로 제안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예산의 연속적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 사업의 체계화를 위한 기관 내부의 자체적인 노력이 담보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care farming cases conducted by the six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o qualitatively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o deduct implic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care farming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nalysis results displayed the introduction of care farming as ‘different beginning, depending on the status of agency’. Second, the status of care farming proposed ‘execution of care farming based on types’, ‘common method of care farming execution’, and ‘outcomes of care farming’. Third, the problems of care farming displayed ‘insu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the execution of care farming’ and ‘pressure of securing material resources’. Fourth, the improvement plan of care farming proposed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support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continuous material resources support to enhance efficiency of care farming’.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Bibliography: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37.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