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관련태도와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관유형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미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를 직무관련태도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매우 드물고, 또한 이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비교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인적자원에 한정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 있는 인적자원요인은 직무관련태도 즉, 직무동기와 직무스트레스이며, 조직성과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된다. 또한 공공부문의 직무관련태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민간부문까지 확대하여 공공부문...
Saved in:
Published in | 국정관리연구 Vol. 9; no. 1; pp. 127 - 15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30.06.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8324 2671-6259 |
DOI | 10.16973/jgs.2014.9.1.005 |
Cover
Summary: |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미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를 직무관련태도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매우 드물고, 또한 이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비교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인적자원에 한정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 있는 인적자원요인은 직무관련태도 즉, 직무동기와 직무스트레스이며, 조직성과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된다. 또한 공공부문의 직무관련태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민간부문까지 확대하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조직성과 영향요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운영의 중요한 요인인 직무관련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조직운영에 있어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attitudes of the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present a metho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earcher classified job-related attitudes into job motivation and job stress, also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 of such job related attitud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related attitudes and the impact on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 sector to the private sector was identifi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allows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job-related attitudes in the organization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s operations in futur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
---|---|
Bibliography: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G704-SER000001525.2014.9.1.001 |
ISSN: | 1975-8324 2671-6259 |
DOI: | 10.16973/jgs.2014.9.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