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 게이트웨이과정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이 게이트웨이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교육요구가 있는지를 질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총 8명의 게이트웨이과정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활로 진입하게 된 배경과 게이트웨이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게이트웨이과정 참여배경, 참여경험, 교육요구의 3가지 주제에 대해 총 19개의 하위범주와 63개의 개념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빈곤의 대물림, 원가족 문제, 결혼실패, 직업실패, 학력 부족, 신체적·심리적 질환, 자활진입 실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 Vol. 35; no. 2; pp. 145 - 168
Main Authors 김미라, Kim Mi-ra, 이현숙, Lee Hyun-sook, 이정희, Lee Jung-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8.02.2019
지방자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이 게이트웨이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교육요구가 있는지를 질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총 8명의 게이트웨이과정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활로 진입하게 된 배경과 게이트웨이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게이트웨이과정 참여배경, 참여경험, 교육요구의 3가지 주제에 대해 총 19개의 하위범주와 63개의 개념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빈곤의 대물림, 원가족 문제, 결혼실패, 직업실패, 학력 부족, 신체적·심리적 질환, 자활진입 실패 등 다양한 배경으로 게이트웨이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게이트웨이과정에 참여하는 동안, 기본 생계유지, 취·창업의 기회, 자활의지생김, 건강관리에 도움 등 긍정적 경험과 미래에 대한 불확신, 자활참여 중 갈등, 자존감 손상 등 부정적 경험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 실용적 교육, 고질적 습관 개선, 심리·정서적 지원, 융통성 있는 교육운영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게이트웨이과정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he self-sufficiency Gatewa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participants and these were then analyzed using a system of constant comparison methods. The results were then classified into 19 subcategories with 63 concepts that arose within three subjects of gateway course participation. These three subjects were background,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 Those participating in the gateway process came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including those experiencing poverty, family turmoil, marital failure, job failu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nesses, as well as those lacking the education or failing to enter self-sufficiency program. For those participating in the gateway course,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basic livelihood, opportunities for taking up or starting a business, self - reliance, helping healthcare were apparent. Also,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conflict in participation, and damage to self-esteem were in evidence. This required stress relief, practical education, improved habits, psychological or emotional support, and flexible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gateway process are suggested.
Bibliography: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http://local.deu.ac.kr/html/sub03-01.asp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3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