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학파 경세론의 도학적 경세정신
율곡 이이는 조선 최고의 경세가라고 할 수 있으며, 율곡학파 경세론의 특징은 도학적 경세론이다. 그런데 율곡은 중국 최고의 변법 경장가 왕안석 신법에 대해 평하기를, ‘인의(仁義)를 뒤로 하고 공리(功利)를 앞세웠다’, ‘중화를 저버리고 이적으로 나아갔다’고 혹평했다. 신법 정책이 안민(安民)에 앞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우선하며, 백성들이 인심(仁心)을 양성하는 정책이 아니라 백성들이 이심(利心)을 추구하게 만드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율곡은 지속적인 변법(變法) 경장(更張)을 주장하면서 민본(民本)ㆍ안민(安民)ㆍ이민(利民)ㆍ위민...
Saved in:
Published in | Yulgok sasang yŏn'gu Vol. 43; pp. 39 - 7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율곡연구원
31.12.2020
(사)율곡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율곡 이이는 조선 최고의 경세가라고 할 수 있으며, 율곡학파 경세론의 특징은 도학적 경세론이다. 그런데 율곡은 중국 최고의 변법 경장가 왕안석 신법에 대해 평하기를, ‘인의(仁義)를 뒤로 하고 공리(功利)를 앞세웠다’, ‘중화를 저버리고 이적으로 나아갔다’고 혹평했다. 신법 정책이 안민(安民)에 앞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우선하며, 백성들이 인심(仁心)을 양성하는 정책이 아니라 백성들이 이심(利心)을 추구하게 만드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율곡은 지속적인 변법(變法) 경장(更張)을 주장하면서 민본(民本)ㆍ안민(安民)ㆍ이민(利民)ㆍ위민(爲民) 정신에 입각하여 국정을 개혁하고 사회 부조리를 개혁하고자 했다. 율곡의 도학적 경세론의 특징은, 첫째, 왕도(王道)를 시행하여 '대동(大同)' 세상을 실현한다는 것이 최종목표이고 그 방법은 안민(安民)과 교민(敎民)을 추진하여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주자의 경세론을 모범으로 삼아서 임금과 정치 담당자들에게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학을 바탕으로 한 덕치와 안민의 실제 성과를 도출하는 경세 태도를 요구했다. 셋째, 우국애민(憂國愛民)에 기초한 우환(憂患)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우환의식은 시의(時宜)에 따른 시폐(時弊) 경장론으로 나타났다.
율곡의 경세정신은 후학들에게 전수되었다. 율곡의 도학적 경세론은 조헌과 김장생, 송시열과 송준길, 윤선거와 이유태와 유계 등 학파를 이어 도학적 경세론을 계승해 갔다. 율곡학파는 만언소 전통을 이어가면서, 임금에게 시정에 대한 장문의 건의를 올려 ‘절약하고 백성을 사랑하여 부역을 줄이고 세금을 적게 걷기’, 인정(仁政)과 덕치에 기반한 안민 정책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았고 부국강병 정책을 정치의 말단의 일로 삼았다.
Yulgok Lee Yi(李珥, 1536-1584) was Joseon's best Kyungjangist. The feature of the Yulgok school theory can be summarized as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ance. Lee Yi commented on the new laws of Wang Anshi(王安石, 1021~1086), China's top Kyungjangist. Lee Yi harshly criticized Wang Anshi for "Leaving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behind utilitarianism(Effectiveness and consequentialism)" and "Leaving moral civilization to move on barbarism." His new law policy put priority on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富國强兵) before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安民). Yulgok criticized, Wang Anshi's policy did not make the people cultivate humanity, just maked the people pursue selfishness. Lee Yi insisted on a continuous perversion, to reform state affairs based on the spirit of the people, tried to reform social absurdities. The characteristic of Lee Yi's theory of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ance is that; First, the ultimate goal is to implement the benevolent policy to realize a "daedong" world. The method can be achieved by promoting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and ‘teaching the people’. Second, it called on king and political officials to take a attitude that elicits the actual achievements of virtuous politics leadership(德治) a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安民). Third, he had a sense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憂國愛民)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for the people. Yhe consciousness of anxiety for the people emerged as the theory of reform according to negative effects of the times(時弊). The Yulgok’ spirit of reform had been passed down to the juniors. They are Jo Hoen(趙憲; 1544-1592), Kim Jang saeng(金長生, 1548-1631),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Song Joon Kil(宋浚吉, 1606-1672), Yoon Seon-geo(尹宣擧, 1610-1669), Lee Yu-tae(李惟泰, 1607~1684), Yu gye(俞棨, 1607-1664). Yulk school continued the tradition of Maneonso(萬言疏, an address of ten thousand letters to the king), claimed saving government expenses and loving the people, reducing forced labor service and imposing less taxes. They left the Policy for a rich country and strong army behi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
---|---|
Bibliography: | Yul Gok Society |
ISSN: | 1738-8236 |
DOI: | 10.35436/yulgok.2020.43.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