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xifloxacin 기반 순차 요법에 실패 후 2차 치료로써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의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효과

목적: 전 세계적으로 표준 삼제 요법의 H. pylori균 제균율이 떨어지고 있어 새로운 약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moxifloxacin 기반 순차 요법은 새로운 대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항생제로 이루어진 이 치료에 실패 시 적절한 2차 약제 선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은 여러 연구를 통해 clarithromycin 및 metronidazole 내성이 있는 경우에도 높은 제균율을 보이는 치료 약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초치료 약제인 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71; no. 4; pp. 196 - 203
Main Authors 권수훈, Soohoon Kwon, 이동호, Dong Ho Lee, 강재빈, Jae Bin Kang, 김나영, Nayoung Kim, 박영수, Young Soo Park, 신철민, Cheol Min Shin, 윤혁, Hyuk Yoon, 최윤진, Yoon Ji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04.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18.71.4.196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전 세계적으로 표준 삼제 요법의 H. pylori균 제균율이 떨어지고 있어 새로운 약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moxifloxacin 기반 순차 요법은 새로운 대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항생제로 이루어진 이 치료에 실패 시 적절한 2차 약제 선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은 여러 연구를 통해 clarithromycin 및 metronidazole 내성이 있는 경우에도 높은 제균율을 보이는 치료 약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초치료 약제인 moxifloxacin 기반 순차 요법 및 역순차 요법에 실패한 경우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의 2차 치료 약제로써 효과 및 순응도,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H. pylori 감염자 중 초치료로써 moxifloxacin 포함 순차 요법 및 역순차 요법에 제균 실패하고, 2차 치료로써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을 시행한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연령, 성별, 흡연 여부, 음주 성향, 동반 질환, 제균 성공률, 순응도 및 부작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총 23명의 환자에서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을 적용하여 치료하였고, 4명의 추적 관찰 탈락이 있었다. 전반적인 제균율은 ITT 분석에서 60.87% (14/23), PP 분석에서 73.68%(14/19)의 제균율을 보였다. 모든 환자들의 순응도는 100%였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은 moxifloxacin 기반 순차 요법 및 역순차 요법에 실패한 환자에게 있어 아직까지 2차 약제로써 만족스러운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겠지만,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이에 대해 입증하는 과정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Moxifloxacin-based sequential therapy showed an excellent eradication rate as the first lin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were only a few studies on the treatment of those with failed moxifloxacin-based sequential therapy. Henc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in those with failed moxifloxacin-based sequential or reverse sequential therapy for H. pylori eradication. Methods: Between January 2013 and March 2016, we retrospectively analyzed patients who failed to eradicate H. pylori using moxifloxacin- based sequential (rabeprazole 20 mg bid and amoxicillin 1 g bid for 5-7 days, followed by rabeprazole 20 mg bid, metronidazole 500 mg bid, and moxifloxacin 400 mg qd for 5-7 days) and 10 days moxifloxacin-based reverse sequential therapy as the first line treatment. Then we investigated the eradication rates of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as the second line treatment. All subjects had no history of H. pylori eradication before. Eradication rates were described as intention-to-treat (ITT) and per-protocol (PP) analyses. H. pylori status was evaluated by 13 C-urea breath test 6 weeks after the end of the treatment. Moreover, we examined any side effects that caused discontinuation of therapy. Results: Twenty-three patients received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as the second line treatment. The overall eradication rates by ITT and PP analyses were 60.87% (n=14/23) and 73.68% (n=14/19). All the patients showed good compliance, and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Conclusions: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is insufficient as the second line eradication treatment after a failed attempt of moxifloxacin-based sequential or reverse sequential therapy. Large-scale clinical trials should be performed to establish better clinical evidence.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196-203)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18.71.4.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