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나’와 프로이트의 ‘에고’에 대한 비교 고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담심리학적인 주제, 또는 임상적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프로이트를 철학적 주제로 다룬 연구들은 주로 니체, 라캉 등과 연관지어 연구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니체가 거부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선두에 있는 칸트와는 관련이 없는가? 최근, 브룩(A. Brook)은 프로이트의 모델과 칸트의 사상을 비교하여 연구하였으며, 헨리(C. Hanly)는 프로이트가 지식의 본성에 대한 칸트적 관점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논점들을 중심으로 칸트와 프로이트를 비교...
Saved in:
Published in | 칸트연구 Vol. 48; pp. 101 - 12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칸트학회
15.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372 2734-0511 |
DOI | 10.32333/KS.48.2.5 |
Cover
Summary: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담심리학적인 주제, 또는 임상적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프로이트를 철학적 주제로 다룬 연구들은 주로 니체, 라캉 등과 연관지어 연구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니체가 거부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선두에 있는 칸트와는 관련이 없는가? 최근, 브룩(A. Brook)은 프로이트의 모델과 칸트의 사상을 비교하여 연구하였으며, 헨리(C. Hanly)는 프로이트가 지식의 본성에 대한 칸트적 관점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논점들을 중심으로 칸트와 프로이트를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의 자아 개념에서 선험적 상상력의 선(先)논증적이고, 선(先)개념적인 종합 활동은 거의 의식되지 않는다. 칸트는 그런 상상력을 마음의 맹목적인 기능이라고 설명한다. 그것은 억압된 정신적 활동과 그 내용 영역으로서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비교된다. 프로이트는 개인을 무의식적인 정신적 이드로 특징지운다. 에고는 이드 표상들이 내적으로 분화된 결과이며, 그것의 중심으로부터 지각 체계가 발달한다. 에고는 정신적 과정의 조직자로서 그 내용들에 질서를 부여하는 방식과 관련된다. 에고의 “정신적 과정의 조직화”에 대한 설명은 칸트의 통각의 선험적 통일에서 귀인된 것이다.
칸트의 비판적 관념론에서 보면, 시간과 공간 및 범주는 경험의 형식으로서 선험적으로 연역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칸트의 선험적 지식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찾으려고 한다. 프로이트에게 시간과 공간은 지각-의식 기제의 특수한 양상들로서 정신적 기제의 확장을 위한 투사의 산물이다. 칸트의 본체적 자아 또는 도덕적 주체는 감각적 경험 세계의 법칙으로부터 자유롭다. 인간 주체로부터 모든 감각 경험 내용들을 “비우는 것”이 칸트적 기획의 핵심이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무의식적 자아는 콤플렉스의 조각들과 트라우마로 가득 차 있으며 파편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 무의식의 특성은 칸트의 “비움”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가득 차 있으며, 분할되고 분열되어 있다.
그러나 그런 분열 자체는 통일에의 관심과 추동으로 나아가는 기폭제가 된다. 그런 통일에의 추동은 “전(前)-에고적 상태의 고요함”을 지향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런 통일을 향한 추동에서 인간 자아의 깊은 심연을 발견한다. 칸트에서 인간 이성은 “진정한 심연”이며, 실천이성의 무조건적 도덕법칙은 “불가사의”한 것이다. 프로이트에게 무의식과 통일에의 추동은 죽음 그 자체의 비유기적이고 고요한 상태로서의 심연이다. 따라서 그런 통일에의 추동은 칸트와 프로이트 기획의 공통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칸트는 현대 정신분석학의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상가로서 더욱 철저하게 연구될 필요가 있다.
Freud’s research on psychoanalysis is generally dealt with as a counseling psychological topic and a clinical topic. In addition, studies dealing with Freud as a philosophical topic are often studied in connection with Nietzsche. But isn’t Freud related to Kant, who is at the forefront of traditional metaphysics that Nietzsche rejects? Andrew Brook compared and connected Freud’s model with Kant’s idea. Chales Henry argues that Freud supports a Kantian view of the nature of knowledge.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Kant and Freud with the following issues. In Kant’s ‘I’, the pre-discursive, pre-conceptual process of synthesizing representations of a transcendental imagination is hardly conscious. Kant explains that imagination as a blind function of the mind. It is compared to Freud’s unconsciousness as an area of content with repressed mental activity.
Freud characterizes an individual as an psychical Id unknown and unconscious. Ego(das Ich) is the result of internal differentiation of Id(das Es) representations, and the perceptual system develops from its center. The Ego emerges from the Id as the organization of mental processes, and it is related to the way in which order is given to its contents. Ego’s explana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mental process is attributed to Kant’s priori unity of apperception.
From Kant’s critical ideology, time, space, and category can be a priori deduced as a form of experience. However, Freud tries to find the empirical basis for Kant’s a priori knowledge. For Freud, time and space are the products of projection for the expansion of psychic apparatus as special aspects of functioning of the system Perception Consciousness. Kant’s noumenal ego or moral subject is free from the laws of the sensory world of experience. “Empty” the contents of all sensory experiences from the human subject is the core of Kantian planning. However, Freud’s unconsciousness is full of pieces of complex and trauma and has a fragmented structure. The nature of such unconsciousness is far from Kant’s “empty.” It is full, divided and splitted.
However, such division itself becomes a catalyst for drive toward unity. Such drive to unity is aimed at “the quiescence of a pre-egoic state”. We find the deep abyss of the human ego in the drive toward such unity. In Kant, human reason is a “veritable abyss”, and the unconditional moral law of practical reason is “mysterious”. In Freud, the drive to unconsciousness and unity is the inorganic and quiescent state of death itself.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uch driving to unity is a common point between Kant and Freud’s planning. Kant needs to be studied more thoroughly as a thinker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paradigm of modern psychoanalysis. |
---|---|
Bibliography: | Koreanische Kant-Gesellschaft http://journal.kstudy.com/ISS_Detail.asp?key=3924139&tname=kiss2002&code=YqldZWtoSqVtJTNEM9IkN8UmN/B%20Z%20xLJTNEVHJpZSUmNbNj2bRU4XB/JTNEMA== |
ISSN: | 1598-9372 2734-0511 |
DOI: | 10.32333/KS.4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