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의 K-CBCL 6-18 아동행동평가 척도 군집분석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K-CBCL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의 변별력 및 임상적 유용성, 구체적 하위유형을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아동복지시설 치료·재활 시범 사업에서 DSM-IV에 의해 진단을 받은 초등학생 585명(남:351명, 여:234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4개의 하위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군집 1은 외현화 장애군, 군집 2는 인지장애군, 군집 3은 내재화 장애군, 군집 4는 혼합 장애군으로 정의되었다. 4개의 군집에 따른 K-CBCL 문제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0; no. 4; pp. 293 - 308
Main Authors 신민진, Shin Min-jin, 하은혜, Ha Eun-hy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K-CBCL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의 변별력 및 임상적 유용성, 구체적 하위유형을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아동복지시설 치료·재활 시범 사업에서 DSM-IV에 의해 진단을 받은 초등학생 585명(남:351명, 여:234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4개의 하위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군집 1은 외현화 장애군, 군집 2는 인지장애군, 군집 3은 내재화 장애군, 군집 4는 혼합 장애군으로 정의되었다. 4개의 군집에 따른 K-CBCL 문제행동증후군 척도 차이가 나타났고, 모든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에서 군집 간 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하위군집은 심리장애 진단 분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외현화 장애군집(군집 1)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군에 많았고, 인지장애 군집(군집 2)은 정신지체군에 많았다. 이를 통해 K-CBCL 문제행동증후군 척도가 관련된 문제영역을 나타내는 DSM-Ⅳ 진단군과 상관관계가 높고, 외현화 척도가 외현화 장애에 대한 선별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은 인지적 문제와 외현화 장애에서 심각성을 확인하었고, 순수 내재화보다는 혼재된 형태로 나타나 아동복지시설 아동 문제행동 증상의 특수성과 복합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ability of the K-CBCL Behavior Problem Scales to discriminate a variety of diagnostic cases, diagnostic accuracy as a screening tool, and criteria for the specific subtypes of diagnostic cases. The study sample included a total number of 5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 351, female: 234)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who were diagnosed with behavioral problems by the DSM-IV, between 2013 and 2016.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types of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in cluster 1 (n=201) had externalizing disorders. Children in cluster 2 (n=190) had intellectual disorders. Cluster 3 (n=118) had internalizing disorders. Cluster 4 (n=76) had combined disorders. The K-CBCL Behavior Problem Scales were validated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DSM-IV diagnosis groups. The externalizing disorder cluster (cluster 1) included the ADHD diagnosis group. The Intellectual disorder cluster (cluster 2) included the Mental Retardation group. Analyses distinguished children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from those with intellectual disorders. For children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no pure internalizing disorders were found. Our results confirmed the specificity and complexity of behavior symptoms inherent in children's problems.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