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이미지/제품이미지 일치와 가치 평가가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배경 패션에서 지속가능성이 대두됨에 따라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을 재생 업사이클링과 재정비 업사이클링으로 구분하고 자기이미지/제품이미지 일치와 가치 평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에서 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최종 265명을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생 업사이클링 자기이미지/제품이미지 일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이상적 자기이미지 일치에서 세련된, 실질/전문적...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70; pp. 51 - 6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1.26.1.005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패션에서 지속가능성이 대두됨에 따라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을 재생 업사이클링과 재정비 업사이클링으로 구분하고 자기이미지/제품이미지 일치와 가치 평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에서 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최종 265명을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생 업사이클링 자기이미지/제품이미지 일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이상적 자기이미지 일치에서 세련된, 실질/전문적인 이미지 일치가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적 자기이미지 일치에서 개성 있는 이미지가 일치 할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정비 업사이클링의 경우 이상적 자기이미지의 개성있는, 신뢰가 가는 이미지 일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적 자기이미지 일치의 경우 개성 있는 이미지가 일치할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가치 평가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에서 자기이미지 일치의 영향을 다룬 연구가 미흡하여 학문적인 의의가 있으며, 업사이클링 패션제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categorized the up-cycling fashion products by regeneration and reform,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gruence between self-image and product image on purchase intention. Also, the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value evaluation on purchase inten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for the female subjects in twenties to thirties who lived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final 26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results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showed that ‘professional’ and ‘sophisticated’ factors of ideal image congruence and 'unique' factor of actual image congruence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purchase intention of regeneration up-cycling fashion products. Among the congruence factors of re-formed up-cycling fashion products, ‘unique’ and ‘sincerity’ were the most outstanding factors. In addit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value evaluation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academic significance since there were very few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in up-cycling fash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up-cycling fashion products.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1.2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