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본 연구는 기존 학계에서 발표된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해 질적연구로 수행된 연구물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메타분석을 통해 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을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한부모 이주여성의 가정해체 경험을 질적연구로 수행한 연구물을 종합적으로 성찰함으로서, 양적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가정해체 경험 및 자립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대상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14편이다. 개별 연구 유형별로 사례를 범주화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학연구 Vol. 31; no. 1; pp. 7 - 40
Main Authors 최수안, Choi¸ Sooan, 김영순, Kim¸ Youngs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30.04.2021
여성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기존 학계에서 발표된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해 질적연구로 수행된 연구물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메타분석을 통해 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을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한부모 이주여성의 가정해체 경험을 질적연구로 수행한 연구물을 종합적으로 성찰함으로서, 양적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가정해체 경험 및 자립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대상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14편이다. 개별 연구 유형별로 사례를 범주화하고 핵심경험과 기술적 주제를 추출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핵심경험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 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을 재구성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은 ‘예상치 못한 가정해체’, ‘타자로 취급되는 현실’, ‘새로운 환경에 던져진 유목적 주체’, ‘홀로서기의 주체성’의 4가지 핵심경험과 12가지의 기술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을 설명하고 논의하였다. 다문화 사회에서 공존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구성원으로 권리와 의무를 다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며 본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서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변화가 실현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studies performed as a qualitative research on migrant women of single parents published in existing academic circles. Through this, we tried to deeply and holistically understand of the self-reliance experience of immigrant single-parent women.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can comprehensively reflect on the researche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arriage dissolution of migrant single parent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specific aspects of the experience of dismantling the family and the process of self-reliance, which are difficult to confirm in quantitative studies, and suggest implications. The subject of analysis is 14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13 to 2020. Analyzing cases of marriage dissolution for each type of study, key experiences and described subjects were extracted, and an analysis frame was presented. In basis on this examples of experiences were presente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studies. Immigrant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family dissolution include four key experiences and twelve described subjects such as ‘unexpected marriage dissolution’, ‘a different reality from what they thought’, ‘nomadic subjects thrown into a new environment’, and ‘subjectivity of being alone’. Based on this, the marriage dissolu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each key experiences were explained and discussed. In order to achieve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mong the multiple citizens, a social foundation for immigrant single mothers to fulfill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is required; also, through a qualitative meta-analysis, we hope that social and policy changes for immigrant single mothers will be realized.
Bibliography:Women`s Studies Center , Pusan National University
ISSN:1598-950X
2713-7538
DOI:10.22772/pnujws.31.1.202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