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운하의 역사 기억과 세계문화유산 등재
장구한 역사를 가진 중국의 대운하 물류 시스템은 사실상 19세기 후반기에 막을 내렸다. 이후 1세기 이상 방치되어 있던 대운하가 2014년 6월 22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38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를 부각하는 동시에, 얼마나 그 문화적 가치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관리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증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른바 진정성(integrity)과 완...
Saved in:
Published in | 史叢(사총), 0(105) Vol. 105; pp. 229 - 28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1.2022
역사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446 2671-583X |
DOI | 10.16957/sa..105.202201.229 |
Cover
Summary: | 장구한 역사를 가진 중국의 대운하 물류 시스템은 사실상 19세기 후반기에 막을 내렸다. 이후 1세기 이상 방치되어 있던 대운하가 2014년 6월 22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38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를 부각하는 동시에, 얼마나 그 문화적 가치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관리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증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른바 진정성(integrity)과 완전성(authenticity), 보호 및 관리 체계(protection and management requirements)에 대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난 1세기 이상 방치되었던 대운하가 2014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고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무엇을 기대했을까? 이는 직접적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가동된 2006년 이후의 상황 변화와 관련이 깊겠지만, 이러한 프로젝트가 가능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다. 특별히 대운하가 물자 유통로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던 19세기 이후부터 다시 이에 대한 또 다른 중요성에 주목하게 된 21세기 초기까지, 대운하에 대한 인식전환이 발생하게 된 과정과 계기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조운(漕運) 기능이 사라진 이후 대운하의 기능과 보존에 대한 인식전환이 발생하는 과정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정리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간략하게 대운하의 역사를 정리하고, 조운 기능이 사라진 19세기 이후 대운하의 기능이 파편화되는 과정을 살펴본 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대운하에 새롭게 부여된 2가지 기능과 함께 21세기에 진입한 직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활용되는 배경까지 검토하였다.
The long-standing logistics system of China's Grand Canal actually end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Great Canal,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more than a century, was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at the 38th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Doha, Qatar on June 22, 2014.
In order to be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it must basically emphasiz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 while proving how well its cultural value is preserved and how it will be managed in the future. The requirements of integrity, authenticity, protection and management requirements must be met.
So why did the Grand Canal,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more than a century, be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14 and what did the Chinese government expect from it? This will be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ituation since 2006, when the World Heritage listing project began in earnest, bu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projec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rious intentions behind the 2014 World Heritage listing, analyzing the process of changing awareness of the fun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Grand Canal in terms of "history memory" and long-term historical context. Chapter 2 summarizes the history of three changes in memory of the Grand Canal, and Chapter 3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a fourth image of the Grand Canal as the function of ‘caoyun’ has been fragmented since the 19th century. In Chapter 4, I examined how the two functions newly assigned to the Grand Canal changed the fourth imag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In Chapter 5 and the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the success of the new fifth historical memory, which was formed when it w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is examined. |
---|---|
Bibliography: |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
ISSN: | 1229-4446 2671-583X |
DOI: | 10.16957/sa..105.202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