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과정의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분석과 개선방안 -고등학교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도덕과의 정보윤리교육이 중요하다는 전제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도덕과 정보윤리교육의 내용 구성과 방향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그동안 도덕과가 책임을 졌던 정보윤리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덕과의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다소 임의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체성 문제와 같은 부분은 충실히 다루어진 측면이 있으나, 정보사회의 기본 구조에 대한 이해나 사이버 공간의 이해와 같은 정보사회 이해를 위한 기본적 내용, 정보문해능력 함양과 같은 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11) Vol. 111; pp. 257 - 283
Main Authors 황인표, Hwang In-py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1.201612.25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도덕과의 정보윤리교육이 중요하다는 전제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도덕과 정보윤리교육의 내용 구성과 방향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그동안 도덕과가 책임을 졌던 정보윤리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덕과의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다소 임의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체성 문제와 같은 부분은 충실히 다루어진 측면이 있으나, 정보사회의 기본 구조에 대한 이해나 사이버 공간의 이해와 같은 정보사회 이해를 위한 기본적 내용, 정보문해능력 함양과 같은 기초소양 능력 배양을 위한 내용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음을 살폈다. 그리고 정보사회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 방법, 즉 덕목 중심으로 접근할 것인지 문제해결능력 배양 중심의 접근을 할 것인지에 대해 분명한 논의가 없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추후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정보사회의 구조적 이해, 정보 리터러시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내용 선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달성하고자 하는 도달점을 분명히 하여 접근 방법과 내용이 연계성을 가지면서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proposing the contents construction & directions of th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first of all, I analyzed the realities of th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As the results, we knew tha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made somewhat arbitrary without planning. And we knew that some parts as the personal identity in the cyber space treated well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but that some parts as the information literacy,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society were neglected. And then, I treated that there was no debating on the solution about how to educate information ethics properly. And last, I proposed that the information literacy,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society as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should reflect necessarily, and contents should combine with approach method which were through virtues or problems solution. I expect this study be contributed to the contents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afterwards.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6.1.111.002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1.201612.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