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방향 탐색 연구

교수·학습 자료는 수업 목표 달성을 위해 사용되는 일체의 수단으로 학습 내용에서부터 학습 환경, 시설, 시청각 기자재, 인적 자원에 이르기까지 학습자가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사건을 포함한다. 즉, 수업에 투입되는 일체의 물적·인적 자원을 말한다. 이러한 교수·학습 자료는 시대적·환경적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를 거듭해오고 있으며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또한 예외는 아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의 변화 양상에 주목하면서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몇 가지 바람직한 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11) Vol. 111; pp. 285 - 304
Main Authors 신현우, Shin Hyun-w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1.201612.28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교수·학습 자료는 수업 목표 달성을 위해 사용되는 일체의 수단으로 학습 내용에서부터 학습 환경, 시설, 시청각 기자재, 인적 자원에 이르기까지 학습자가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사건을 포함한다. 즉, 수업에 투입되는 일체의 물적·인적 자원을 말한다. 이러한 교수·학습 자료는 시대적·환경적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를 거듭해오고 있으며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또한 예외는 아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의 변화 양상에 주목하면서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몇 가지 바람직한 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그것은 이 연구가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큰 틀에서의 방향 제시에 초점을 맞춰 수행되었기 때문에 실제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에 직접 활용이 가능 한 형태로 교수·학습 자료가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Teaching- Learning materials are all means used to achieve teaching goals. It includes all the events that a learner needs to acquir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rom learning content to learning environments, facilities, audiovisual equipment, and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ll the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that are put into the class. Teaching- Learning Material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in the times and environments, an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of moral education are no exception. In this paper, I have focused on the change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of moral education. and presented some ways of developing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mo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Unfortunately,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ing a direction in a large framework of moral subject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so teaching- learning materials are not presented in a form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ctual mo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6.1.111.004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11.201612.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