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넷(RuNet)과 유라시아-넷(Eurasia-Net) : 중앙아시아에서의 러시아 인터넷의 위상

이 글은 러시아 정부의 디지털 외교 전략이 루넷(Рунет, RuNet)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루넷은 좁은 의미에서는 러시아에 서버를 둔 러시아 국가 도메인인 동시에 넓은 의미에서는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쓰며 전 CIS의 인터넷 유저들이 공유하는 유라시아 공통의 사이버 공간이라 할 수 있다. CIS국가들은 소비에트 정권 아래 유사한 현대화 절차를 밝았으며, 역사, 문화 그리고 언어적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동질성을 바탕으로 사이버 유라시아 공동체인 루넷이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루넷의 다양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소연구 Vol. 42; no. 2; pp. 345 - 378
Main Authors 신보람, Boram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5.08.2018
아태지역연구센터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012-3563
2508-5425
DOI10.21196/aprc.42.2.201808.0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러시아 정부의 디지털 외교 전략이 루넷(Рунет, RuNet)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루넷은 좁은 의미에서는 러시아에 서버를 둔 러시아 국가 도메인인 동시에 넓은 의미에서는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쓰며 전 CIS의 인터넷 유저들이 공유하는 유라시아 공통의 사이버 공간이라 할 수 있다. CIS국가들은 소비에트 정권 아래 유사한 현대화 절차를 밝았으며, 역사, 문화 그리고 언어적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동질성을 바탕으로 사이버 유라시아 공동체인 루넷이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루넷의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루넷이 한 국가의 인터넷 공간이 아닌 유라시아 지역을 아우르는 유라넷(EuraNet)으로 가지는 기능을 탐색할 것이다. 그리고 2010년대부터 강화된 러시아 정부의 인터넷 검열·규제와 인터넷 기술을 선점하고 있는 서구에 대항적인 디지털 전략의 출범이 루넷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앙아시아에서 인터넷 사용자 수가 가장 높은 두 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사례를 통해, 러시아 국경 밖에서의 루넷의 위상과 루넷이 CIS권에 가지는 영향력을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루넷을 통한 유라시아에서의 러시아의 영향력 재구축 및 사이버 패권 확장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the Russian government’s internet regulation and strategy on the Russian Internet, commonly referred to as RuNet. RuNet, defined narrowing as a Russian national domain space, can also be defined more broadly as a cyber space shared by Russian-speaking internet users across Eurasia. It is a cyber space built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mmonalities the CIS states share as a post-Soviet legacy. In the case of Central Asia, the digital divide caused by relatively late introduction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led Central Asian internet users to integrate into the Russian cyber space. This paper discusses how Russia’s measure to counter Western media influence in Runet and its efforts to nationalize the internet may affect Central Asian ― especially Uzbek and Kazakh ― cyber-space.
Bibliography:ASIA-PACIFIC RESEARCH CENTER HANYANG UNIVERSITY
ISSN:1012-3563
2508-5425
DOI:10.21196/aprc.42.2.201808.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