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 구강 헹굼이 성인 남성의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 및 대사적 피로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탄수화물 구강 헹굼(mouth rinse)을 실시하여, 운동수행력(거리, 속도, 시간) 및 대사적 피로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20-30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carbohydrate(탄수화물) 구강 헹굼(CMR) 그룹(12명), placebo(플라시보) 구강헹굼(PMR) 그룹(10명)으로 각각 구분하였고, CMR 그룹에서는 Maltodextrin(CHO 6%)을 물과 함께 총 25ml를 약 5-10초가량 rinse 한 후 유산...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융합과학회지 Vol. 9; no. 4; pp. 265 - 279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융합과학회
30.11.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탄수화물 구강 헹굼(mouth rinse)을 실시하여, 운동수행력(거리, 속도, 시간) 및 대사적 피로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20-30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carbohydrate(탄수화물) 구강 헹굼(CMR) 그룹(12명), placebo(플라시보) 구강헹굼(PMR) 그룹(10명)으로 각각 구분하였고, CMR 그룹에서는 Maltodextrin(CHO 6%)을 물과 함께 총 25ml를 약 5-10초가량 rinse 한 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혈액 검사는 그룹별 실험조건에 따른 안정시, 운동 직후 채혈을 실시하여 생리적 변인을 확인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여 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운동수행능력의 비교결과 CMR 그룹에서만 운동수행력(거리, 속도, 시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사적 피로요인의 비교결과 CMR 그룹에서 혈중 lactate의 농도가 감소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탄수화물 구강헹굼 방법은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혈중 피로요인의 변화에도 부분적으로 그 영향이 반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운동수행력을 조금이라도 더 늘리기 위한 특정 집단에게 탄수화물 구강헹굼의 방법은 운동수행의 증진 효과를 유발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arbohydrate mouth rinse on exercise performance (distance, speed, and time) and metabolic factors of fatigue in adult mal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ho were adult males in their 20s or 30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arbohydrate mouth rinse (CMR) group of 12 individuals and a placebo mouth rinse group (PMR) of 10 individuals. The CMR group performed aerobic exercise on a treadmill after maltodextrin (6% CHO) mouth rinsing with water for about 5-10 seconds. Subsequently, a blood test was performed for identifying physiological variables by collecting blood at rest and immediately after exercis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 from each group. A two-way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for data processing using SPSS 23.0 Program.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Result: In a comparison of exercise performance (distance, speed, and time), only the CM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in a comparison of metabolic factors of fatigue, the CMR group showed a decrease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carbohydrate mouth rinsing improves exercise performance and partially affects fatigue factors. Hence, carbohydrate mouth rinsing may stimulate a exercise performance enhancement effect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for the Convergence Science |
ISSN: | 2671-7395 2671-7409 |
DOI: | 10.24826/KSCS.9.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