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조선수 및 지도자의 체조경기 채점규정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점수에 대한 만족도 및 귀인성향

이 연구의 목적은 체조경기 채점규정에 대한 체조선수와 지도자의 이해도와 실제점수에 대한 만족도 및 귀인성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조선수 132명과 지도자 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교차분석,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및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채점방식에 대한 선수의 이해도는 75%이상 이해하는 경우가 18.18%였고, 지도자의 이해도는 75%이상 이해하는 경우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20; no. 4; pp. 854 - 864
Main Authors 이광연, Kwang Yeon Lee, 윤대현, Dae Hyun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12.2009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09.20.4.85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체조경기 채점규정에 대한 체조선수와 지도자의 이해도와 실제점수에 대한 만족도 및 귀인성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조선수 132명과 지도자 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교차분석,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및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채점방식에 대한 선수의 이해도는 75%이상 이해하는 경우가 18.18%였고, 지도자의 이해도는 75%이상 이해하는 경우가 49.09%였으며, 선수와 지도자의 이해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습시 예상점수와 실제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지도자와 선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경기직후 예상점수와 실제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선수와 지도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실제점수에 대해 선수가 만족하는 경우는 61.36%, 지도자가 만족하는 경우는 52.73%으며, 선수와 지도자의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선수가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의 귀인요인으로는 `노력`이 가장 높았고 `새로운 규정`이 가장 낮았으며, 불만족하는 경우의 귀인요인으로는 `능력`이 가장 높았고 `타인의 도움`이 가장 낮았다. 귀인요인 중에서 `노력`과 `타인의 도움`에서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족하는 경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지도자가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족하는 경우 모두의 귀인요인으로는 `노력`이 가장 높았고 `운`이 가장 낮았다. 귀인요인 중에서 `능력`, `과제곤란도`, `타인의 도움`, `새로운 규정`은 실제점수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와 불만족하는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oroughly gymnasts and their coaches have understood newly-designed gymnastics rules and how much they have been satisfied with scores they have obtained, and to inquire out what kinds of attribution can be traced.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on 132 gymnasts and 55 coaches. In this study, descriptives, crosstabs, paired samples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for analysing thos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over 75% understanding of the new-built scoring way is 49.09% of coaches and 18.18% of gymnasts; 2) differences between their expected scores during practice and actual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3) differences between their expected scores right after competition and actual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4) 52.73% of coaches and 61.38% of gymnasts were satisfied with the scores they obtain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m was not shown; and finally; 5) coaches were likely to emphasize their `efforts` about the score they obtained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tual score. Gymnasts were likely to emphasize their `efforts`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tual score, while they were likely to emphasize their `capability` when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ctual score.
Bibliography:G704-000739.2009.20.4.009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09.20.4.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