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한 개념도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들이 지각하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개인의 실행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들이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가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29명의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산출된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의 중요도와 개인 실행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간이해 Vol. 31; no. 2; pp. 231 - 250
Main Authors 이지연, Jee Yon Lee, 한수진, Soo Jin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0.12.2010
학생생활상담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들이 지각하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개인의 실행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들이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가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29명의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산출된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의 중요도와 개인 실행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68개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구체적인 진술문이 산출되었으며, 이를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은 첫째, ``사회·제도적인 역할``, ``부모의 역할``, ``통합학급교사의 역할``, ``특수학급교사의 역할``, ``도우미교사의 역할``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모든 범주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의 중요도와 실행 수준의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났다. 또한, 모든 범주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에 비해 실행수준을 낮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도를 통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을 5개 범주로 밝혀냄으로써, 통합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통합교육의 실제적인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what mothers of students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perceived as successful mainstream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mothers, and key sentences were extracted, sorted and rated. Results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68 statements emerged with regard to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Results from concept mapping indicated that successful mainstreaming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5 domains, i.e., the role of society and system , the role of parents , the role of inclusion class teachers , the role of special class teachers , the role of assistant teachers .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ll categories in terms of degree of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 of inclusion in education.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measures for inclusive education are discussed.
Bibliography: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G704-SER000001572.2010.31.2.003
ISSN:2005-0860
2671-5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