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본 연구에서는 탄력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돕고자 탄력성을 개념화하는 정의와 발달 과정 그리고 탄력성의 개념과 관련한 관점 및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과 더불어 탄력성을 개념화할 때 논쟁되어지는 주요한 딜레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탄력성은 크게 세 차례의 연구 발달과정을 거쳐 주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연령에 따라 탄력성의 개념은 변화한다고 보았다. 둘째, 탄력성이 개념화하는 발달과정에서 크게 3가지의 탄력성 관점이 전개되었으며, 측정학적인 관점에서는 탄력성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다차원적으로 보았다. 셋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6; no. 4; pp. 259 - 283
Main Authors 이연실, Yon Sil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탄력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돕고자 탄력성을 개념화하는 정의와 발달 과정 그리고 탄력성의 개념과 관련한 관점 및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과 더불어 탄력성을 개념화할 때 논쟁되어지는 주요한 딜레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탄력성은 크게 세 차례의 연구 발달과정을 거쳐 주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연령에 따라 탄력성의 개념은 변화한다고 보았다. 둘째, 탄력성이 개념화하는 발달과정에서 크게 3가지의 탄력성 관점이 전개되었으며, 측정학적인 관점에서는 탄력성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다차원적으로 보았다. 셋째,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은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탄력성은 각 4가지의 주요한 논쟁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탄력성의 개념화에 대한 내용을 보다 깊이 있고 면밀하게 알 수 있으며, 탄력성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a resilience concept. Firstly, a definition and process of development was examined in order to conceptualize resilience. Secondly, a viewpoint and organizing factor of a resilience concept was also examined. Finally, A controversial dilemma was checked during conceptualizing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 resilience has become a major concept through three research development processes. A resilience concept can be changed and it is depending on an age. Secondly, three major viewpoints of resilience have been found from a development process of resilience conceptualization. The study also shows that a domain of resilience was multidimensional Thirdly, organizing factors of a resilience concept have a multidimensional feature. Finally, resilience has four major points of dispute. A conceptualization of resilience can be understood more detailed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is also useful to prepar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basis for application of resilience.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3.16.4.008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