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수술 환자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의 예방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이나 고관절 골절 수술 후에 정맥혈색전증 발생 위험성은 다른 어떤 수술보다 높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폐색전증의 발생 위험성 때문에 고관절 수술 환자에서는 정맥혈색전증 예방요법이 필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맥색전 혈전증의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적절한 방법으로는 물리적 요법과 약물 요법이 있는데, 아직까지 이상적인 단일요법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정맥색전혈전증의 예방요법을 선택할 때는 그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균형을 가지고 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관절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ip & pelvis Vol. 26; no. 1; pp. 1 - 6
Main Authors 박윤수, Youn Soo Park, 임승재, Seung Jae Lim, 이태훈, Taeh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고관절학회 30.03.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3260
2287-3279
DOI10.5371/hp.2014.26.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이나 고관절 골절 수술 후에 정맥혈색전증 발생 위험성은 다른 어떤 수술보다 높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폐색전증의 발생 위험성 때문에 고관절 수술 환자에서는 정맥혈색전증 예방요법이 필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맥색전 혈전증의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적절한 방법으로는 물리적 요법과 약물 요법이 있는데, 아직까지 이상적인 단일요법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정맥색전혈전증의 예방요법을 선택할 때는 그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균형을 가지고 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관절 수술 환자에서 정맥혈색전증 예방요법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The risk for venous thromboembolism (VTE) in total hip arthroplasty and hip fracture surger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surgery. There is a general agreement that prevention of VTE in hip surgery patients is necessary due to concerns regarding symptomatic deep vein thrombosis or fatal pulmonary embolism. Optimal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VTE include pharmacologic and mechanical approaches; however, the ideal prophylactic regimen has not been identified. Selection of a prophylactic regimen should be balanced between efficacy and safe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different prophylactic options available today for prevention of VTE in hip surgery patients.
Bibliography:The Korean Hip Society
G704-001551.2014.26.1.003
ISSN:2287-3260
2287-3279
DOI:10.5371/hp.2014.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