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에 있어서 거시윤리학적 접근의 필요성-고등학교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현대 사회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어서 기존의 윤리학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기술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윤리학이 요청되는데, 그러한 윤리학은 거시윤리학이라 부를 수 있다. 거시윤리학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으므로 그러한 논의의 흐름에 따라 거시윤리학의 방향이나 이론적 정당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칼-오토 아펠의 담론 윤리와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가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09) Vol. 109; pp. 235 - 254
Main Authors 정결, Jung Kyu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9.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09.201609.2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대 사회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어서 기존의 윤리학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기술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윤리학이 요청되는데, 그러한 윤리학은 거시윤리학이라 부를 수 있다. 거시윤리학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으므로 그러한 논의의 흐름에 따라 거시윤리학의 방향이나 이론적 정당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칼-오토 아펠의 담론 윤리와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가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필자는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거시윤리학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영역 설정에 있어서 거시윤리학을 중심으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Modern society has shown a number of problem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eontic ethics according to addressing this problem has a breaking point. Therefore, the appropriate request a new eth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era. We can call it the macroethics. The properties of the macroethics is summarized in three. First, we need to focus on the future and the earth. Second, we must mainly responsible for the results. Third, the emphasis on collective and consider the existence of other human beings. There were two representatives of the macroehtics. Discourse ethics of Karl-Otto Apel and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of Hans Jonas is it. According to Karl-Otto Apel conventional moral is divided into microethics and mesoethics. But modern society has been the emergence of new problems that can not be resolved by conventional moral. So it is the position of Karl-Otto Apel suggesting apply macroethics from the standpoint of discourse ethics. Hans Jonas argues that the need to extend the scope of the responsibilities of global and future generations of mankind far. We must apply the perspective of macroethics courses in high school 『life and ethics』.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6.1.109.009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09.201609.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