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다리지지대(boot support leg holder)를 사용한 복강경수술에서 발생한 신경학적 합병증 5예

쇄석위 자세는 산부인과 수술 시 흔히 취하는 자세로 하지의 신경 손상이 드물지만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대부분은 수술 중 부적절한 자세유지로 인한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미한 신경 손상은 자발적인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할 경우 회복이 늦어지거나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쇄석위 자세에서 무릎지지대를 쓸 경우 신경의 압박, 저관류의 증가, 수술 중 체위변경의 어려움으로 인해 본원에서는 장화다리지지대를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저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55; no. 9; pp. 687 - 691
Main Authors 방현철, Hyun Chul Bang, 김진영, Jin Young Kim, 송태훈, Tae Hun Song, 양현성, Hyun Sung Yang, 이채형, Chae Hyeong Lee, 박현수, Hyun Soo Park, 박진우, Jin Woo Park, 윤상호, Sang Ho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산부인과학회 15.09.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쇄석위 자세는 산부인과 수술 시 흔히 취하는 자세로 하지의 신경 손상이 드물지만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대부분은 수술 중 부적절한 자세유지로 인한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미한 신경 손상은 자발적인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할 경우 회복이 늦어지거나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쇄석위 자세에서 무릎지지대를 쓸 경우 신경의 압박, 저관류의 증가, 수술 중 체위변경의 어려움으로 인해 본원에서는 장화다리지지대를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저자들은 장화다리지지대를 사용한 쇄석위 자세에서 신경학적 합병증 5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ithotomy position has often been used in gynecologic surgeries. Nerve injury of lower extremities may be rare but can happen anytime during the surgeries. The pathogenesis of neurologic complications is not clear, but most of the neurologic complications are known to occur due to improper posture during surgery, Minor nerve injuries can recovered spontaneously, but severe injuries can cause slow recovery or permanent damage. The usage of generic knee support may cause compression to the nerves and increases the risk of hypoperfusion and difficulty in the change of posture during surgery, so in our hospital we have used a boot support leg holder during the surgery. Nevertheless, we experienced five cases of neurologic complication during a lithotomy position with usage of a boot support leg holder. Therefore we report these c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www.kjog.org
G704-000834.2012.55.09.013
ISSN:2287-8572
2287-8580
DOI:10.5468/KJOG.2012.55.9.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