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기질종양의 진단과 치료

본 종설은 최신 연구결과들을 수집하여 국내 위장관기질종양 환자들을 진료하는 임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작성되었다. 그 동안 위장관기질종양의 진단 및 수술과 약물치료에 대해 연구를 지속하면서 국외의 새로운 연구 결과들뿐 아니라 우리나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적절한 진료지침을 만들기 위해 물심양면으로 애써 주신 대한위장관기질종양연구회 회원들과 임원진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본 종설을 통하여 위장관기질종양의 진단의 확실성을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 환자들의 진료 및 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Gastroi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5; no. 4; pp. 341 - 353
Main Authors 강윤구, Yoon Koo Kang, 구동회, Dong Hoe K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10.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2289-0769
DOI10.3904/kjm.2013.85.4.34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종설은 최신 연구결과들을 수집하여 국내 위장관기질종양 환자들을 진료하는 임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작성되었다. 그 동안 위장관기질종양의 진단 및 수술과 약물치료에 대해 연구를 지속하면서 국외의 새로운 연구 결과들뿐 아니라 우리나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적절한 진료지침을 만들기 위해 물심양면으로 애써 주신 대한위장관기질종양연구회 회원들과 임원진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본 종설을 통하여 위장관기질종양의 진단의 확실성을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 환자들의 진료 및 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which are the most common mesenchymal tumor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ave represented an important advance in oncology field with the success of molecular targeted therapy. Since the approval of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imatinib) in 2002,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advanced GIS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urate histopathologic diagnosis of GISTs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has become more important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GISTs. Recently, imatinib has become a standard treatment even in adjuvant setting, and regorafenib has been approved for advanced GIST after failure of imatinib and sunitinib. This review presents here the updated results of relevant clinical studies for the further revision to the guideline of Korean GIST study group. We hope this review will help enhance the quality of diagnosis, treatment, and care of patients with GIST in Korea. (Korean J Med 2013;85:341-353)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3.85.4.011
ISSN:1738-9364
2289-0769
DOI:10.3904/kjm.2013.85.4.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