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통계적으로 통제한 상태에서도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대해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놀이치료자 231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 자기돌봄(개인적 자기돌봄, 전문적 자기돌봄)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았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소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 놀이치료자의 자기돌봄(개인적 자기돌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9; no. 1; pp. 21 - 3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28.02.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19.1.2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통계적으로 통제한 상태에서도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대해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놀이치료자 231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 자기돌봄(개인적 자기돌봄, 전문적 자기돌봄)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았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소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 놀이치료자의 자기돌봄(개인적 자기돌봄, 전문적 자기돌봄)은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를 통제하고서도 심리적 소진에 대해 독립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치료자가 같은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처해있더라도 개인적 자기돌봄과 전문적 자기돌봄 능력에 따라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본연구는 심리적 소진의 예방과 대처를 위해 직무환경 개선 노력과 더불어 자기돌봄 증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self-care on play therapist’s burn-out and to examine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self-care on the play therapist’s burn-out,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play therap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sim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the play therapists had lower levels of job stress and a higher level of self-care(personal self-care and professional self-care), the degree of burn-out was found to be lower. Specifically, the play therapist’s personal and professional self-care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burn-out controlling for the job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y therapists’ self-care levels(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can be a protective factor for their burn-out level as a risk factor.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play therapist’s self-care as well as their working environment may be help to prevent a play therapist from burning out.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6.19.1.004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1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