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중계(Mock Broadcasting)을 통한 체육교과 감상 수업의 실행

이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중등학교에 적용되는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경쟁 활동 영역의 감상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학습과정으로 이해-수행-감상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배구단원을 내용으로 수업이 계획되고 전개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Y시의 행복중학교(가명) 3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감상학습의 구체적 방법으로 ``모의중계(mock broadcasting)``를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배구단원 차시계획을 세우고, 직접적 체험활동과 간접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22; no. 4; pp. 2429 - 2444
Main Authors 이태구, Tae Koo Lee, 김규리, Kyu Ri Kim, 박형란, Hyoung Ran Park, 이한주, Han Jo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12.2011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1.22.4.24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중등학교에 적용되는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경쟁 활동 영역의 감상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학습과정으로 이해-수행-감상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배구단원을 내용으로 수업이 계획되고 전개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Y시의 행복중학교(가명) 3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감상학습의 구체적 방법으로 ``모의중계(mock broadcasting)``를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배구단원 차시계획을 세우고, 직접적 체험활동과 간접적 체험활동이 어우러진 수업을 전개하였다. 먼저 영상교육자료를 제작하여 간접적 체험 활동을 통해 배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넓히고, 운동장에서 변형게임과 뉴스포츠인 인디아카를 통해 학생들이 배구경기를 쉽게 익히도록 하고, 배구경기를 실시하였다. 모의중계수업이 끝난 후,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접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수집하였고, 자료는 시계열분석틀에 따라 귀납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학생들은 배구단원 수업이 끝난 후, ``준비하며 배우는 감상수업``, ``실행하며 배우는 감상수업``, ``끝나고 계속 배우는 감상수업``으로 모의중계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경쟁 활동 감상수업방법으로 모의중계를 고안하고 적용한 현장 연구로, 감상의 개념과 접근방법, 감상의 현장적용성에 대해 논의를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strategy for sports appreciation and to apply it to competitive physical activity. Understanding-Performance-Appreciation were suggested as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newly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Participants were ninth grade students (N=210) in a middle school. Mock broadcasting was designed and applied in volleyball unit of physical education (PE) class. Multimedia learning resourc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volleyball through indirect activity. Students participated in modified game of volleyball called Indiaca to learn volleyball game rules and strategies. At 12th period students performed mock broadcasting. Open survey and the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responded the mock broadcasting lesson as learning experience (1) before, (2) during, and (3) After classes. Mock broadcasting in PE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were discussed.
Bibliography:G704-000739.2011.22.4.014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1.22.4.2429